슬롯 머신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

 1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1
 2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2
 3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3
 4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4
 5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5
 6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6
 7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7
 8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8
 9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9
 10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10
 11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론]공리주의와 도덕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리주의와
도덕교육
목 차
Ⅰ. 공리주의 주제 선정 이유
Ⅱ. 공리주의 이론 설명
1. 공리주의의 시대적 배경과 철학적 흐름
2. 벤담 - 양적 공리주의
3. 밀 - 질적 공리주의
4. 공리주의 비판
Ⅲ. 사례와 분석
1. 사례와 분석 - 새만금 간척사업을 둘러싼 논쟁
2. 사례와 분석 - 교사의 딜레마
3. 사례와 분석 - 이라크 파병 문제
Ⅳ. 수업적용과 교육활용
Ⅴ. 마치면서
Ⅵ. 참고문헌
I . 선정 이유
두 갈래의 철로길 중 한 쪽에는 1명의 인부가, 다른 한 쪽에는 5명의 인부가 일하고 있다. 당신이 기관사라면 어떤 희생을 택하여 어떤 희생을 막겠는가. 이번 학기 도덕 수업을 들으며 교수님께서 던져주셨던 여러 딜레마 문제들 중 나로 하여금 가장 고민과 갈등을 많이 하게 하였던 것이 바로 이 공리주의의 딜레마였다. 공리주의는 우리가 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론이기 때문에 현실적인 이론으로 보여지기도 한다. 민주주의 사회의 의사결정과정의 기본이 되는 다수결의 원칙 또한 공리주의의 원리에 입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생활 속 문제에 공리주의의 원리를 엄격하게 적용하여 해결하려고 할 경우 도덕성이나 인간 존엄성의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실 속 문제에 공리주의 원리가 적용될 때 생기는 딜레마에 관하여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보고 이를 초등교육에 적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공리주의를 보고서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Ⅱ. 공리주의 이론 설명
1) 공리주의의 시대적 배경 및 철학적 흐름
18세기의 영국철학을 산업자본주의 형성기의 철학이라고 한다면, 19세기의 그것은 산업자본 확립기의 철학이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말해서 이 세기의 철학사상에는 전세기의 그것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창조성, 독창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18세기 후반에 시작된 산업혁명이 그 경이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한 19세기 초두에 눈부신 활동을 보인 것은 벤담에서 시작되는 공리주의학파였다. 이것은 18세기의 이른바 영국 고전철학의 계승 발전이었으며, 근대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의 결론적 성과가 거기에 나타났다. 그리고 산업혁명을 기장 일찍 이룩한 영국에서는 근로대중의 신분의 평등적 운동이 많았다. 또한 영국의 중산계급은 선거법 개정법안의 선에서 민주주의를 수습하고 혁명이 아니라 점진적인 개량에 의해 사회개혁을 달성하려 하였다. 이러한 중산계급에 대응하는 철학이 또한 ‘공리주의’였던 것이다.
그리고 철학의 흐름을 살펴보았을 때, 고대의 에피쿠로스(Epicurus)학파가 사라진 이후 쾌락주의는 거의 2천년 동안 아무런 발전이 없었다. 그러나 영국의 철학자들이 쾌락주의에서 사회적으로 적용 가능한 개인윤리를 찾고 나서 쾌락주의의 새로운 장이 열리기 시작했다. 직관주의 철학에 반기를 들고 일어선 공리주의는 윤리적인 행위란 행복을 가져오는 행위로 규정한다.
2) 벤담 - 양적 공리주의
윤리 이론으로서 공리주의는 영국 경험론의 심리학적철학적 얼개 안에서 벤담에 의하여 발전되었다. 벤담의 주된 관심은 법률 이론이었으며, 그는 법률 이론과 관행을 위한 윤리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리주의를 발전시켰다. 그는 본질적으로 개인의 도덕적 행동에서의 지침으로서 그리고 사회의 입법적 개선을 위한 기초로 윤리론을 형성하는 것을 주된 관심사로 가지고 있었다. 그는 좋은 법과 나쁜 법을 구별하기 위하여 리차드 컴벌랜드의 ‘최대선’(greatest good) 혹은 ‘최대행복’(greatest happiness)의 원리에 기초한 새로운 도덕이론을 개진했다. 『도덕 및 입법 원리 입문』(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에서 벤담은 “고통과 쾌락만이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해 주는 동시에 우리가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를 지적해 준다.”고 말한다. 그리고 “인간의 모든 행동은 고통의 회피 혹은 쾌락의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는 사실을 “쾌락을 추구해야 한다”라는 당위의 근거로 삼고 있다. 즉 심리학적 사실로부터 공리성의 원리로 나아간다. 공리(Utility)의 원리라는 것은, 어떠한 종류를 막론하고 모든 행동의 옳고 그름을 판정하되, 그 행동이 당사자의 행복을 증진하든지, 그렇지 않으면 행복에 반대되든지 하는 그 지향을 보아서 모든 행동을 좋다거니 나쁘다거니 하는 원리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오직 공리성의 원리에 맞는 행위에 대해서만 마땅히 행해졌어야 할 행위라거나 옳은 행위라는 말을 할 수 있다.
① 유용성의 원리
유용성의 원리는 벤담이 제시한 기준으로 이 원리는 쾌락과 고통이 우리를 지배함을 인정하며 이것을 전체체계의 기초로 삼는다. 이러한 체계의 목표는 이성 또는 법률의 손으로 조직적인 행복을 구성하려는 것이다. 벤담에 따르면 이러한 체계를 의문시하는 모든 시도는 진정한 의미가 아닌 시끄러운 소음을, 이성이 아닌 변덕을, 빛이 아닌 어둠을 다루는 것에 불과하다. 유용성의 원리가 의미하는 바는 곧 그것이 모든 행위를, 어떤 행위든지 간에, 그 행위가 그것과 자신의 이익이 관련되는 사람들의 행복을 증가시키는 경향성을 지니는 듯이 보이는가 아니면 감소시키는 경향성을 지니는 듯이 보이는가에 따라서 그 행위를 시인하거나 부인한다는 점이다. 바꾸어 말하면 어떤 행위가 행복을 증진시키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그 행위를 판단한다는 점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