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

 1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1
 2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2
 3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3
 4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4
 5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5
 6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6
 7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7
 8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8
 9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9
 10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10
 11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11
 12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 문화 의사소통의 정의와 구조

Ⅱ.본론: 문화 의사소통 사례 분석

1)문화 의사소통의 내용
1. LA폭동: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2. 새끼손가락의 의미: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3. 당신들의 대한민국: 언어 (Language) 커뮤니케이션
4. 미녀들의 수다

2)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고정관념, 편견: 일본 국민들의 외국인 인식변화
2. 인종 우월주의 - 사라 바트만의 Freak Show
3. 크래쉬(Crash, 2004)
4. 사회적 차원
5. 문화적 종속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3. 당신들의 대한민국: 언어 (Language) 커뮤니케이션

인간이 만든 상징 중에서 언어는 가장 정교한 것으로써 문화의 차이를 두드러지게 나타내며, 문화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자 사물을 인식하는 수단이다. 사람은 같은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사물에 대한 비슷한 의미를 공유한다. 동시에 언어는 각 문화마다 서로 다른 내포적 의미를 가져서 타 문화의 사람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거부감을 일으킬 수도 있다. ‘당신들의 대한민국’의 저자 박노자는 한국의 텍스트를 읽을 때 마다 우리가 군사적인 계통의 단어들을 일상적으로 너무 많이 쓰고 있다고 하며, 한국의 군사적 단어가 미국이나 다른 문화권에서는 불쾌하게 들릴 수 있음을 말한다.

가령 진보 단체의 홈페이지에서도 우리 모 진보 정당을 ‘지원사격’하고 있다는 문구를 발견할 수 있다. 전장에서나 쓰일 법한 이 끔찍한 의미의 단어를 그냥 무심히 ‘도움’의 동의어로 받아들이고 있는 셈이다. 우리가 외국인 노동자들의 인권이 단순히 유린을 당하는 것이 아니고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사각이라는 것은 사정거리 안에 있으면서도 총포 구조 등의 문제로 사격할 수 없는 범위를 뜻하는 대표적인 군사 용어이다.
형식상 같은 외국 근로자이면서도 공장의 외국 근로자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좋은 대우를 받는 외국 선수들을 우리는 통상 ‘용병(mercenary)’라 부른다. 만약 어떤 미국 신문이 박찬호를 ‘mercenary’라 지칭했다면 박 선수는 명예훼손 소송으로 상당한 돈을 벌 수 있었을 것이다. 영어로 ‘mercenary’는 오직 돈을 위해서 한쪽에 붙어 다른 쪽의 사람들을 죽이는 일을 맡은 파렴치한 같은 부정적인 뉘앙스를 풍기기 때문이다. 반대로 이라크에 가서 경비등의 일을 보는 미국 등 서방 민간인들을 정작 ‘mercenary’라 불러야 하지만 주류 언론들은 뉘앙스가 좋지 않은 이 단어를 피해서 꼭 ‘contract(청부업자)’라고 쓴다.


4. 미녀들의 수다

연극 용어 중에 소격효과(alienation effect) 란 말이 있다. 독일의 연극인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창안한 개념으로, '낯설게하기' 라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소격효과는 관객으로 하여금 당연하고 고정불변한 것처럼 보이는 사회현상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게 함으로써 깨달음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극적장치다. 즉, 친숙하고 익숙한 대상에 대해 객관적 거리감을 갖고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새로운 의미 관계를 규정하거나 대상을 새로운 원근법 속에 집어넣는 기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낯설게 하기'를 적절히 이용하여 풀어 낸 프로그램이 있다. '미녀들의 수다'(이하 '미수다')다. 우리가 우리 속에서 너무나 당연하게 보고 있던 ‘우리만의 문화’를 외국인의 시각에서 보는 재미가 있다.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들을 외국인들의 미녀들이 지적하거나 신기하다고 이야기하면서 우리 스스로 우리 문화를 재상기하는 기회가 된다.
특히 외국인들이 '우리'라는 단어를 자주 쓰는 한국인과의 의사소통에 관련된 이야기는 웃음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외국에서 '우리 남편'이라고 한다면 그 남자는 부인이 많은 남자가 돼버린다. 물론 이는 우리나라의 대인관계가 다른 나라와 달리 개인보다 집단을 강조하는 성향이 짙은데서 나오는 특징이다. 한 편 외국에서는 개인의 자아개념을 더 강조하기 때문
참고문헌
손짓, 그 상식을 뒤엎는 이야기 -이노미지음 (바이북스)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 - 니시다 히로코 엮음, 박용구 옮김 (커뮤니케이션 북스)
당신들의 대한민국 2- 박노자 (한겨레 출판사)
사라바트만 사례:
//blog.naver.com/esthersiro?Redirect=Log&logNo=70086091530
//blog.naver.com/sag911?Redirect=Log&logNo=140011883918
영화 크래쉬:
//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9840
‘우리’라는 단어:
//www.kbs.co.kr/zzim/player/html/vmplayer/index.html?markid=701085
개방적인 성교육:
//www.kbs.co.kr/zzim/player/html/vmplayer/index.html?markid=125723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