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만전춘별사

 1  만전춘별사-1
 2  만전춘별사-2
 3  만전춘별사-3
 4  만전춘별사-4
 5  만전춘별사-5
 6  만전춘별사-6
 7  만전춘별사-7
 8  만전춘별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만전춘별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서론
- 들어가기
2. 본론
- 고려속요의 이해
- 만전춘별사 해석
3. 결론
- 마무리
- 참고문헌
①. 들어가기
고려시대 궁중 음악의 하나였던 는『대악후보(大樂後譜)』권5 , 『경국대전(經國大典)』권3 ,『세종실록(世宗實錄)』권146에 기록되어 있다. 과연 만전춘별사는 어떤 노래이기에 조정에서 이 노래를 즐기게 했을까? 만전춘별사라 하면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하여 남녀간의 애정과 사랑 그리고 대담한 성행위 묘사라는 즉, 조선조에 불리기는 어려운 노래라고 생각되게 배웠고 또 그렇게 해석되어왔다. 과연 어떤 노래이기에 남녀상열지사라는 말을 듣게 됐고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노래가 16c까지도 살아있을 수 있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②. 고려속요의 이해
1. 정의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 이는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세련되어 있다.
2. 특징
-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진솔하다.
- 오랜 시일 전승되는 동안 첨삭되는 과정을 거쳐 세련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 향가가 쇠퇴한 후 고려의 시가는 사실상 그것을 담을 그릇(문자)을 잃어 정상적인 발전을 하지 못하다가 다만 입에서 입으로 부르던 구전시가(口傳詩歌) 속요만이 향가의 뒤를 이었다고 본다.
- 원래 향가란 작품도 그것이 애초에는 노래로만 불려지다가 나중에 문자로 정착되었듯이 고려의 속요 역시 구전(口傳)되다가 조선조에 와서 우리말로 정착된 것이다. 실제로는 작품 수가 상당히 많았을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남아 있는 것은 몇 편에 그친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여증동, 「만전춘별사 가극적 시고」, 논문집, 진주교육대학교, 1967
여증동, 「만전춘별사연구」, 어문학33집, 한국어문학회, 1975
성현경, 「만전춘 별사의 구조」,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 문학회,1975
곽동훈, 「만전춘별사의 구조연구」, 배달말, 배달말학회, 1982
박병채, 「고려가요의 연구」, 이우출판사, 1982,
성현경, 「재론」, 한국고전시가 작품론1, 집문당, 199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