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

 1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1
 2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2
 3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3
 4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4
 5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5
 6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6
 7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7
 8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8
 9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9
 10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10
 11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리주의와 함께 생각해볼 점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가려진 ‘소수의 불행’
【목차】
1. 주제선정이유
2. 공리주의란
3. 공리주의 적용 사례-만화책 속에서
(1) 네이버 웹툰『남기한 엘리트 만들기』에서의 사례
(2) 만화책『차나왕 요시츠네』에서의 사례
(3) 만화책『드래곤볼』에서의 사례
4. 공리주의 이면에 숨겨진 소수의 불행 사례-실제 사례
(1) 김포 한강 신도시 개발과 철거민
(2) 저소득층 자녀들의 슬픈 수학여행
5. 초등교육에 있어서 공리주의의 적용과 생각해볼 점
(1) 초등학교 학급 어린이 회의
(2) 5학년 도덕 교과서 단원 6. 나와 우리
6. 느낀 점
7.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1. 주제선정이유
초등도덕교육1 이라는 수업을 듣고 공부하는동안 내 머릿속에 맴도는 생각 중 하나는 ‘훗날 내가 교사가 되었을 때, 과연 저토록 어려운 도덕사상들을 어떻게 초등교육에 적용시킬 수 있을까? 또한 만일 내가 맡은 학급에서 아이들끼리 도덕적 문제 상황이 벌어진다면 나는 어떤 도덕사상으로 그 문제에 접근하여 해결할 수 있을까?’였다. 이러한 생각을 하던 중 공리주의라는 사상을 배우게 되었는데,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이라는 말이 너무 매력적으로 느껴졌었다. 사실 사람들은 쾌락을 추구하며, 고통을 피하고, 결과를 중요시 하면서 살아간다. 이러한 사람들이 어느 집단에 모여 갈등 상황을 맞는다면 최대다수가 쾌락을 느낄 수 있는, 최대 다수가 최대로 행복할 수 있는 선택이 옳은 선택이라 생각한다. 또한 참관 실습 중 만난학교의 아이들 또한 이미 문제 상황에서 ‘다수결’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고, 그 해결방법에 전혀 문제가 없어 보였다. ‘아! 그래 나중에 교사가 되었을 때, 또는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는 공리주의원칙에 따라 선택하고 행동해야겠어!’ 라고 생각하는 나에게 누군가가 말을 건다. ‘과연 공리주의원칙에 따라 행동하면 아무 문제가 없을까?’나는 나에게 이 물음을 던진 누군가와 대화를 시작했고, 대화 형식을 통해 이야기를 해보고자한다.
2. 공리주의란?
공리주의 [功利主義, utilitarianism]
공리주의(功利主義, utilitarianism)는 공리성(utility)을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하는 사상이다. 곧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가 인간의 이익과 행복을 늘리는 데 얼마나 기여하는가 하는 유용성과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넓은 의미에서 공리주의는 효용·행복 등의 쾌락에 최대의 가치를 두는 철학·사상적 경향을 통칭한다. 하지만 고유한 의미에서의 공리주의는 19세기 영국에서 벤담(Jeremy Bentham, 1748~1832), 제임스 밀(James Mill, 1773~1836),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 등을 중심으로 전개된 사회사상을 가리킨다.
공리주의는 쾌락의 계량가능성을 주장한 벤담의 ‘양적(量的) 공리주의’와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한 J. S. 밀의 ‘질적(質的) 공리주의’로 나뉜다. 벤담은 1789년 발표된 에서 공리주의 사상의 핵심 원리들을 체계화하여 공리주의를 대표하는 사상가가 되었다. 그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인간의 자연성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개인은 물론 개인의 집합체인 사회에도 최대의 행복을 가져다 준다고 보았다. 그는 쾌락의 질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계량가능한 것으로 파악했으며, 강도(强度)·계속성(繼續性)·확실성(確實性)·원근성(遠近性)·생산성(生産性)·순수성(純粹性)·연장성(延長性)이라는 7가지 척도로 그것을 계산하려 했다. 그리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하지만 J. S. 밀은 쾌락의 질적인 차이를 주장하며 벤담의 사상을 수정하였다. 그는 인간이 동물적인 본성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질적으로 높고 고상한 쾌락을 추구한다고 보았다. 곧 “만족한 돼지가 되는 것보다는 불만족한 인간임이 좋고, 만족한 바보보다는 불만족한 소크라테스(Socrates)임이 좋다”는 것이다. 그리고 법률에 의한 정치적 제재를 중시한 벤담과는 달리 양심의 내부적인 제재로서 인간이 가지는 인류애를 중시하였다.
공리주의는 인간을 언제나 쾌락(행복)을 추구하고 고통(불행)을 피하려 하는 본성을 지닌 존재로 파악한다. 인간 행동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준도 이러한 공리적 인간관에 기초하는데, 이에 따르면, 인간의 쾌락과 행복을 늘리는 데 기여하는 것은 선한 행위이지만, 고통과 불행을 크게 하는 것은 악한 행위이다. 나아가 사회의 행복을 최대로 하려면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가능한 한 많은 행복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리주의의 목표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을 실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행위의 선악을 쾌락의 기준으로 정하는 이러한 원리를 ‘공리의 원리’(Principle of utility)라고 한다.
[출처] 공리주의 [功利主義, utilitarianism ] | 네이버 백과사전
3.공리주의 적용 사례-만화책 속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