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

 1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1
 2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2
 3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3
 4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4
 5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5
 6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6
 7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7
 8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8
 9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9
 10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10
 11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11
 12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과 교육이론]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Report
‘나와 너 그리고 우리’ - 공리주의 -
목차
Ⅰ. 서론
- 공리주의를 선택하게 된 이유
Ⅱ. 본론
1. 공리주의 파헤치기
(1) 공리주의의 개관
(2)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의 심층적 이해
(3) 공리주의의 약점과 의의
(4) 공리주의에 대한 나의 해석 Feedback
2. 공리주의에 관련된 나의 경험 및 사례
(1) 진수의 불평
(2) 원룸 아주머니의 화단
(3) ‘살인의 추억’에서 찾아 본 공리주의
3. 공리주의의 교과서 적용
Ⅲ. 결론
- 교실 안에서의 공리주의에 대한 나의 교육 방법론
및 느낀점
- 참고문헌
Ⅰ. 서론
공리주의를 선택하게 된 이유
여러분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나 삶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교대생활을 하면서 많은 교수님들께서 우리에게 물어오셨던 질문이다.
그때마다 한결같이 우리는 ‘행복’이라고 답을 한다. 하지만 잘 생각해 보면 그것이 우리 모두의 행복을 가르키지 않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우리가 말했던 행복은 내가 행복해지는 것, 바로 ‘나의 행복’이었다. ‘최대 다수의 최대의 행복’을 기본으로 이론을 펼쳐가는 공리주의의 행복은 우리가 마음속으로 가진 ‘나의 행복’이 아닌 ‘우리 모두의 행복’을 가르킨다. 아이들에게 나 혼자가 아닌 더불어 살아갈 따뜻한 인성을 키워주는 것은 내가 선생님이 하게 될 교육의 가장 큰 목표였고 그동안 수업시간에 배웠던 많은 이론중 이와 가장 관련이 깊은 이론이 바로 공리주의였다.
어쩌면 내가 생각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따뜻한 사람을 키워내려는 교육의 목표가 추상적이고 어떻게 해야 그런 마음을 가진 아이들을 키워 낼지에 대해 막연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의 교육목표와 깊은 관련이 있는 공리주의에 대해 깊이 있는 이론적 탐구를 해보고 그를 통해 나만의 교육적 방법론을 정립할 수 있다면 이것은 나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란 생각으로 최종적으로 공리주의를 선택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공리주의 파헤치기
(1) 공리주의의 개관
- 공리주의란 무엇인가?
공리주의는 행위자가 어떤 행위를 선택함에 있어서 옳은 행위란 행위자 자신뿐만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든 그 행위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 모두를 위해서 최대의 행복을 산출하는 행위라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여기에서는 가능한 최대의 총체적 행복(공리)인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옳은 행위의 기준으로 제시된다. 공리주의의 가장 큰 특징은 하나의 행위를 그 행위 자체로써 그 윤리성을 판단하지 않고 그 행위의 결과 즉 그 행위가 가져오는 행복과 쾌락의 증가 또는 감소로써 판단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리주의를 결과주의적 윤리관으로 불러지기도 한다.
공리주의의 대표적 학자에는 창시자인 벤담과 그 후에 벤담의 이론을 비판 보충하며 나온 밀이 있다. 벤담과 밀 모두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전제하에 이론을 펼쳐 나간다. 이 기본 전제에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이루어 질 때 바로 그 사회가 가장 이상적인 사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