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심청가에 대하여

 1  심청가에 대하여-1
 2  심청가에 대하여-2
 3  심청가에 대하여-3
 4  심청가에 대하여-4
 5  심청가에 대하여-5
 6  심청가에 대하여-6
 7  심청가에 대하여-7
 8  심청가에 대하여-8
 9  심청가에 대하여-9
 10  심청가에 대하여-10
 11  심청가에 대하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심청가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동리 신재효 (桐里 申在孝)
3.심청가 (沈淸歌)
4.심청가의 인식
4.1 정현석 󰡔교방가요󰡕
4.2 이해조 󰡔자유종󰡕
5. 심청가 이야기
6. 심청가의 명창의 계보
7. 명창의 비교
8심청가의 연구
8.1 심청가의 구성형식
8.1.1 반복적 구성
8.1.2. 순화적 구성
8.1.3. 통과의례적 구성
8.2 심청가의 주제
8.3 심청가의 근원설화
8.4 심청가의 인물의 성격-심봉사를 중심으로
9. 심청가의 후대적 변이
9.1 심청가의 후대적 변이-대중적 면
9.2 심청가의 후대적 변이-동화적 면
10.나오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1.들어가며
심청가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의 하나로서 심청전의 내용을 판소리로 만든 것이다. 춘향전과 함께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으며 향유되었다. 주로 애절하고 슬픈 대목이 많아서 골계미가 적다. 과거에는 너무 슬픈 소리라 하여 높게 치지 않았으나 근래에는 《춘향가》다음으로 예술성이 높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심봉사의 딸 심청은 어려서 친모를 잃었으나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를 봉양하다 그 눈을 띄우기 위해 스스로 몸이 팔려 인당수에 떨어지나 다시 환생하여 황후가 되고 심봉사는 그 효성에 눈을 뜨게 된다는 심청전의 줄거리이다.
심청가는 몇 가지의 이본이 전하며, 일반적으로 판소리로 불린 심청가는 독서물로 읽혀진 경판본(京板本) 심청전과는 다른 작품 구조를 지진다.
이 발표에서는 친근한 심청가의 인식과 명창에 대해서 알아보고, 학계에서는 어떤 연구를 하며 심청가는 현대에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보겠다. 그러나 지식의 습득보다는 심청가에 더욱 가까워지는 시간을 갖는 것이 목표이다.

2. 동리 신재효 (桐里 申在孝)
동리 신재효는 신재효 고창 출신의 아전, 관아의 구슬아치로 45세를 전후해서 호장을 사임하고 판소리 연구에 들어섰다. 판소리에서 정신세계를 찾은 그는 판소리를 즐기는 동시에 자신의 넉넉한 재력을 이용하여 판소리 광대를 모아 생활을 돌보아 주면서 판소리를 가르치기도 하였다. 춘향가의 남창과 동창으로 구분하여 어린 광대가 수련할 수 있는 대본을 마련하기도 하여 판소리의 다양화를 시도하고, 사설의 형식의 틀을 만들어 소리꾼들에게 습득하게 하였다. 또한 명창광대의 조건, 음악적, 연기적 측면 등 판소리 이론을 정립한다. 그리고 떠도는 판소리 6마당의 사설을 모아 정리하였다. 신재효(申在孝)의 심청가에는 경판본 심청전의 성격과 판소리 사설 심청가의 성격이 공존하고 있다. 어떤 부분에서는 그 자신의 목소리를 작품 속에 직접 노출시키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ko.wikipedia.org, 심청가
-국립문화재 연구소, 문화재청 해리티지채널
-김동건,『판소리 연구 32』, 「’심청전’에 나타난 욕망과 윤리의 공존 방식」, 판소리연구, 2011
-서경희, 『동방학 제30집』,「’심청전’에 나타난 가장의 표상과 역설적 실체』,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설중환, 『판소리사설연구』, 국학자료원, 2008
-이헌홍, 『한국문학논총 3』,「심청가의 구성 형식과 전승 구조」, 한국 문학회, 1980
-조홍매, 『 인문논총2』, 「애니메이션 동화 왕후 심청의 재생산의 의미」, 서울여자대학 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차창룡, 『한국문예창작 6』,「한국현대시의 심청 모티브 양상 고찰」, 한국문예창작학회, 2007
-최동현, 『국어문학31』,「’심청전’의 주제에 관하여」, 국어국문학회, 1996
-최윤식, 『교원 교육 23』,「심청전 관련 설화의 전승 양상과 성격」,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연구원, 2007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심청가」,「태몽설화」,「인신공희설화」,「재생설화」, 「개안설 화」,「용궁설화」
-허원기, 『 정신문화 연구86』, 「심청전 근원설화 전반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김연수 창본, 문화재 관리원(1970) • 강한영, 『 신재효판소리 사설집』, 보성출판사, 1978
하고 싶은 말
심청가에 대해 서술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