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

 1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1
 2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2
 3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3
 4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4
 5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5
 6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6
 7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7
 8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8
 9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시대] 신진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신진 사대부는 권문세족과는 다른 새로운 계층인가?



-연구 동기와 연구사 동향, 그리고 쟁점 제시



-쟁점 전개

1.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용어파악
2.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범주
3. 신진사대부의 등장과 성격




-마무리 및 연구의 한계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 국가의 역사에 있어서 각 시대에 활동했던 주요 정치지배세력과 다른 세력과의 교체 과정을 연구한다는 것은, 그 시대의 역사사회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알아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새로운 국가를 개창한 세력이 기존의 집권세력과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 개창된 국가와 기존의 국가와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차이점 파악에 의해 국가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 중에서도 고려후기의 정치사는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라는 두 정치세력의 관계와 동향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두 세력을 연구함으로서 고려 말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과 조선의 개창까지 흐름을 잘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려후기의 정치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의 일로, 사대부(士大夫)의 개념이 제시되어 고려후기의 정치사를 사대부의 성장이라는 일관된 흐름 속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1970년대에는 가설의 형태로 제시된 사대부의 개념을 원(元) 간섭기의 개혁정치나 성리학의 도입,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사회변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검증하여 점차 구체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때 사대부와 대비되는 권문세족(權門勢族)의 개념이 제시되어 고려후기의 정치사를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대립을 통해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경향에 대해 비판이 제기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로, 대체로 사대부나 권문세족이 고려후기의 정치사를 설명하는 데 부적합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대부와 권문세족의 개념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이익주, 1996, 「권문세족과 사대부」,『한국역사입문』2 중세편, 한국역사연구회, p84.

이 밖에도 많은 학자들이 정치세력에 대해 연구를 했는데, 이러한 각종 논문을 보면 우리가 흔히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라고 일컫는 세력에 대한 여러 가지 의문이 생긴다. 우선, 학자들 마다 사용하는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용어가 불일치하다는 점에 대한 것이다. 권문세족은 ‘권문세족’ 혹은 ‘세족’ 등으로 지칭되고 있고, 신진사대부에 대해서는 ‘신진사대부’, ‘신흥사대부(新興士大夫)’, ‘신진세력(新進勢力)’, ‘사대부’ 등으로 언급되는데 이러한 용어들 중 어떤 것이 바른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또 다른 의문은, 각종 논문 등의 자료에서 지칭하는 권문세족과 사대부에 대한 범주와 정의가 연구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는 점이다. 이에, 권문세족이란 실제로 어떠한 존재였으며, 그와 대립되는 개념이라고 알고 있던 신진사대부는 정말 권문세족과 대립되는 세력인가에 대한 의문 역시 생기게 되었다.
참고문헌
이익주, 1996, 「권문세족과 사대부」,『한국역사입문』2 중세편, 한국역사연구회.
박용운, 2003, 「고려후기 權門의 用例와 그 성격에 대한 재검토」,『韓國史學報』제14호.
김광철, 1991, 『高麗後期 世族層 硏究』, 동아출판사.
이익주, 1992, 「고려후기 사대부와 권문세족에 대한 새로운 이해」, 『역사와 현실』8.
고려말 정치사 연구반, 1994, 「고려말 정치사 연구동향」,『역사와 현실』12.
金鶴柱, 1997, 『高麗末期 新進勢力의 成長과 活動』, 延世大 敎育大學院.
김지희, 2005, 『고려 우왕대 신진사대부의 동향』, 淑明女子大學院.
박경순, 2003, 『공민왕대 신진사대부에 대한 고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金周錫, 1993, 『麗末 新進士大夫 勢力에 대한 일고찰』, 大邱大 大學院.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