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동학가사東學歌辭란

 1  동학가사東學歌辭란-1
 2  동학가사東學歌辭란-2
 3  동학가사東學歌辭란-3
 4  동학가사東學歌辭란-4
 5  동학가사東學歌辭란-5
 6  동학가사東學歌辭란-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학가사東學歌辭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여기에서는 동학가사의 발생 동기와 특징, 현황과 근대 작품에의 영향 등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다.
먼저 동학가사의 발생 배경부터 알아보자. 새로운 사상이나 종교의 출현은 현실 사회의 정신적 타락이나 결함을 전제로 하는데 이는 현실의 구조적 모순에서 벗어나 건전한 사회에로 지향하고자 하는 의식이 그 출현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동학이 발생한 당시의 사대적사회적 상황이 동학사상과 무관할 수 없으며, 동학사상의 문학적 표현인 동학가사 역시 창작 당시의 시대적사회적 배경과 유리될 수 없다. 더욱이 동학사상을 널리 전파하기 위하여 지어진 동학가사에 있어서 동학의 발생과 변천은 그 창작 배경의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고 하겠다. 최제우가 득도하였던 철종 11년은 세도정치가 거의 막을 내릴 무렵이었다. 이 때에 이르러 전통적으로 고수되어온 경세유학의 이상인 왕도정치의 꿈은 이미 지배층에서마저 사라지고 오직 몇몇 족벌들의 독선만 횡행하여 정치는 물론 사회, 경제, 문화의 모든 분야가 침체 일로를 걷고 있었다. 여기에다가 사도의 문란은 사회 전방에 부패와 불신을 조장하여 민심은 극도로 지배층과 분리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 아래 당시 권력의 핵으로부터 소외되었던 남인계 실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온 西學(天主敎)은 이제 학문으로서가 아니라 본격적인 신앙으로 변하여 상당한 위세를 떨치며 민중 속으로 퍼져가고 있었다.
또한 동서남의 전 해양에는 수시로 異樣船이 나타나 민중은 불안을 떨칠 수가 없었다. 이는 임진병자의 양란을 겪으면서, 민중들은 유사시 위정자, 즉 조정이 백성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 주지 못하는 무력하고도 무책임한 존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이러한 상황에 결정적인 충격을 준 것은 1858년 소위 洋夷인 英佛 연합군이 청국을 침입하여 승리하고, 1860년 북경을 함락시킨 일이 일어난 것이었다. 이와같이 西勢東漸의 징후가 점차 현실화함으로 당시 민중의 위기의식은 더욱 팽배하여졌다.
서학의 확산과 서세동점의 현실화, 이양선의 출현 등으로 빚어진 민중들의 위기 의식을 水雲은 그대로 보아 넘길 수가 없었다. 이에 그는 도전적인 비판의 자세로 서학을 비난하고 서학의 초자연적인 조화가 洋人들의 강력한 무력의 원천이 된다고 보아 이를 경계하는 것이 나라를 지키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東學’이라 이름하고 외세의 배척을 시도하였다.
또한 왕권의 약화와 세도정치가 낳은 병폐로 사회의 기성질서가 극도로 어지러워져 민심은 흩어지고 인심 풍속은 날로 야박해졌다. 특히 문란한 과거제도를 통하여 대소 관직에 오른 관리들이 온갖 방법으로 정부에 여념이 없자 三政(田政, 軍政, 還穀)이 문란해져 전국 각지에서 민중봉기가 일어나 대소의 민란은 그칠 사이가 없었고 백성의 생활을 더욱 어려워져 거리를 헤메고 걸식하는 사람들이 늘어만 가니 민중의 입에서 말끝마다 “이 나라는 망한다. 꼭 망하여야 옳다. 어찌 얼른 망하지 않는고” 하는 탄식이 끊이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1821년 우리 나라에 발생한 콜레라는 그 뒤 3년 동안에 걸쳐 수십만의 목숨을 빼앗아 갔다.
민중들은 생활고 속에서 또 하나 생존의 위협마저 느꼈으나 조정의 구제책은 전혀 없었고 속수무책의 전염병 속에서 더욱 팽배해진 사회적 불안과 위기의식은 걷잡을 수 없이 만연되어 갔다. 이에 민중들은 질병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갈망하게 되니 자연 전래하던 각종 秘記書와 鄭鑑錄 등의 도참서가 유행하였다.
水雲은 이러한 상황에서 백성들이 불안과 생존의 위협에서 벗어나 편안히 살 수 있고 나아가 그들에게 새로운 질서를 구현하는 濟世救民의 종교적 계기를 마련하고자 동학을 주창하게 되었다.
동학을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기 위해 그는 1860년에 『龍潭歌』와 『安心歌』를, 1861년에 『敎訓歌』『道修歌』『劍訣』들을, 1862년에『勸學歌』『夢中老少問答歌』, 1863년에 『道德歌』를 지어 득도의 기쁨과 가르침을 제자들에게 전해 주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