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

 1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1
 2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2
 3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3
 4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4
 5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5
 6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6
 7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7
 8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시가론] 용담유사- 흥비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序 論


2. 本 論

① 용담유사의 작품들

② 흥비가에 대하여

③ 내용 연구

④ 작품 연구


3. 結 論

본문내용
용담유사는 1860년(철종 11)에 지은 《용담가》 《안심가(安心歌)》 《교훈가(敎訓歌)》를 비롯, 1861년에 지은 《도수사(道修詞)》 《검결(劒訣)》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1862년에 지은 《권학가(勸學歌)》, 1863년에 지은 《도덕가(道德歌)》 《흥비가(興比歌)》 등 9편의 가사를 모아서 엮은 책이다. 제2세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1881년(고종 18) 6월 충북 단양군 남면 천동(泉洞) 여규덕(呂圭德)의 집에서 간행케 한 것이 있고(1책, 필사본), 1932년 《룡담유》라는 제목으로 김주희(金周熙) 등의 동학가사를 더하여 한데 엮어서 인간(印刊:1책, 37장)한 것이 있다. 서양세력의 동점(東漸)에 깊은 우려를 나타내고 이에 맞서기 위한 정신자세로서 동학을 내세운다는 뜻이 주가 되어 있다. 일반 민중과 부녀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한글 가사체(歌辭體)를 빌려 동학의 사상을 펼쳤는데, 형식이나 문체는 비록 고전 가사와 같지만 개화기의 문체를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개화기 가사의 효시가 된다.
본고에서는 용담유사 속에서 가장 나중에 지은 흥비가에 대해서 조사해 보기로 하겠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