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시인 김남조 분석

 1  시인 김남조 분석-1
 2  시인 김남조 분석-2
 3  시인 김남조 분석-3
 4  시인 김남조 분석-4
 5  시인 김남조 분석-5
 6  시인 김남조 분석-6
 7  시인 김남조 분석-7
 8  시인 김남조 분석-8
 9  시인 김남조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인 김남조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
김남조 론
Ⅰ. 작가의 문학적 전기
김남조는 1927년 9월 26일 대구의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고향이 대구라고는 하나 1940년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옮겨갔기 때문에 소녀시절은 일본에서 보내게 된다. 일본의 큐슈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고 1944년에 졸업한다. 13세까지를 대구에서 보냈으며, 1940년에서 1944년까지의 가장 감수성이 예민한 시절 일본에서 교육을 받았던 것이다. 국가적으로 가장 어려운 시기에 더구나 여성으로 유학할 수 있었다는 것은 그만큼 경제적 여유와 교육에 대한 이해가 컸다고 보겠는데 이는 그의 성장기가 외형적으로는 유복한 출발이었다고 할 수 있다. 광복 직후 1947년 서울대 예과를 거쳐 1951년 서울대 사범대 국어과를 졸업하는데 대학시절에 시 「星宿(성숙)」을 (1948)에 기고하였고, 「殘像(잔상)」을 (1950)에 기고하여 시인으로 데뷔하였다. 첫 번째 작품인 「성숙」은 별에 관한 이야기인데, 이는 그가 대학시절 천문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있었다는 사실과 천문학 교수와의 교제 사실에 어느 정도 바탕하였다고 볼 수 있다.
형제가 모두 4남매(두 아들과 두 딸)인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위로 두 형제는 6·25전에 죽고, 전쟁 중에는 하나 남은 남동생마저 사망했다. 그리고 아버지 역시 김남조가 장성하기 전에 돌아가신 것으로 열려져 있다. 또한 일본에서 처음 좋아했던 체육교사는 히로시마 원폭으로 사별하고, 천문학 교수와의 교제도 전쟁 중 납북으로 끝이 났다. 이런 죽음들 속에서 결국 김남조 혼자 홀어머니 밑에서 장성한다. 전쟁과 죽음과 이별, 이 처절한 현실에서 그가 인식한 가장 극명한 주제는 바로 목숨이었다. 1953년 첫 시집 『목숨』은 그렇게 탄생하였다.
1955년 김남조는 조각가 겸 서울대 미대 교수인 김세중과 결혼한다. 김남조는 이 해에 숙명여대 교수가 되어, 부부 교수, 부부 예술가가 되었다. 이는 그동안의 격랑에서 상당히 안정된 것이고 여유와 명예가 보장된 삶의 시작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목숨』에서 보여주는 처절한 생존의 몸부림보다는 은총에 대한 감사와 사랑과 헌신의 신앙적 고백이 그의 문학을 풍요롭게 하였다. 제2시집 『나아드의 향유』가 결혼하던 해에 발표되었고, 1958년에는 『나무와 바람』, 1960년에는 『정념의 기』, 1963년에는 『풍림의 음악』이 계속 발표되었는데, 이는 모두가 생활의 안정과 여유로움에서 보다 진지하고 넉넉한 시적 언어를 천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안정된 시작활동은 제10시집 『빛과 고요』, 제11시집 『시로 쓴 김대건 신부』를 발표한 1980년대 초반까지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그렇게 평온하던 김남조의 문학에 충격을 준 것은 1967년 홀로 자식들을 키우던 그의 어머니의 죽음이고, 1986년 남편 김세중과의 사별이다. 아버지의 부재와 형제자매 중에서 유일하게 남았던 탓에 어머니와의 사이는 각별했고, 그에 따른 충격또한 더욱 컸을 것이다. 따라서 김남조의 시는 유독 모성적인 시들이 많다. 어머니에 대한 깊은 연민들이 시적 상상력으로 표현되었으리라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남편과의 사별을 겪으면서도 생과 사의 문제, 인생의 문제를 보다 초월적인 자세에서 겸허히 바라보게 되었고, 그러한 충격과 깨달음은 그가 지금까지 열정적으로 걸어온 신앙과 사랑과 삶에 대한 연민을 한층 심화시켜 화해와 평화의 세계로 차분하게 정리하게 된다.
이러한 신앙적 삶의 평화 속에서 『바람세례』, 『평안을 위하여』, 『희망학습』, 『영혼과 가슴』이 발표되었고, 2005년 1월 그동안의 시집 15권을 묶어 『김남조 시선집』을 내었다.
Ⅱ. 작가의 경향
김남조의 시 세계에 대해서는 대체로 사랑과 신앙의 세계를 탐구하고 있다는 데에는 학자들이 공통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사랑과 신앙의 세계 외에 초기 시편들에 대해서는 ‘일상 생활의 자잘한 세계에 바탕을 둔 시들’ 서준섭(2006).
이라는 견해도 있으나, 대체로 ‘생명의 세계’ 윤호병(1997).
, ‘생명을 노래하는 시’ 허영자, 「김남조의 시세계」, 『정념의 기』, 삼중당
, ‘인간과 생명에 대한’ 김용직(1997), 시와 사랑하기의 변증법, 시와 시학. 1997. 가을, ‘
, ‘생명의 발전’ 조윤미(1999).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영선(2005), 삶과 신앙의 문학적 상상력 ― 김남조 시인의 생애와 신앙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비평연구』 16, 한국현대비평연구학회
서준섭(2006), 정넘과 사랑과 기도의 시, 『시와 시학』 61, 시와 시학사
오세영(2006), 사랑의 플라토니즘과 구원 ― 김남조론, 『20세기 한국시인론』, 월인
윤호병(1997), 생명, 사랑, 신앙:김남조의 시세계, 『시와 시학』 27, 시와 시학사
정영자(1996), 김남조의 시세계, 『한국여성시인 연구』, 평민사
조윤미(1999), 김남조 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JR의 국어나라(//www.jongry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