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집단상담기술의 활용

 1  집단상담기술의 활용-1
 2  집단상담기술의 활용-2
 3  집단상담기술의 활용-3
 4  집단상담기술의 활용-4
 5  집단상담기술의 활용-5
 6  집단상담기술의 활용-6
 7  집단상담기술의 활용-7
 8  집단상담기술의 활용-8
 9  집단상담기술의 활용-9
 10  집단상담기술의 활용-10
 11  집단상담기술의 활용-11
 12  집단상담기술의 활용-12
 13  집단상담기술의 활용-13
 14  집단상담기술의 활용-14
 15  집단상담기술의 활용-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집단상담기술의 활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전 장들에서는 내담자와의 의사소통과 관계 맺기(engaging)에 대한 다양한 치료적 접근법들을 제공했었다. 이 장은 사회복지 실천의 흐름이 개인과 가족 중심에서 집단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점을 보인다. 집단 상담(Group work)은 또 다른 치료적 이론의 범위 내에서도 도출될 수 있는데, 그러한 이론들은 이미 이전 장에서 언급된 바 있다. 이 장은 집단의 특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다양한 치료적 접근방법에서 비롯된 상담 기술들이 어떻게 집단(상담) 과정(group process)에 적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이 장의 목적은 어떻게 집단상담의 기술들이 다른 상담에 대한 접근법들을 통하여 확장될 수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서, 사회복지 실천가들에게 집단상담의 기술들을 소개하는 것이다.
왜 집단인가? (Why a group?)
집단이라는 환경에서 개인들과 상담하는 것은 상담 관계(working relationship)라는 맥락에 사회적(사교적) 일면들을 도입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상담에서 변화의 매개물이 되는 것은 1:1 상담에서의 상담 관계가 아니라, 집단(상담) 과정에의 참여와 집단에의 소속감이다. 개인 상담이 더욱 광범위하고, 전체론적인 과정임에 반해, 집단(상담)은 지배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다. 여성들을 위한 집단(상담) 혹은 젊은이들의 대인관계 기술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등이 그 예이다. 판단(assessment)과 개입(intervention)이라는 범위에서 고려해 봤을 때, 집단들 - 가족 혹은 계통적 개관(systemic overview) 등이 포함된 - 에게 있어 부족한 점은 대인관계 기술, 사별(bereavement) 등과 같은 일들에 그 집단의 초점이 맞추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집단들은 ‘다차원적 경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Benson, 2001) 이러한 경험들은 물리적, 감정적, 지적 그리고 경험적 수준에서 발생된다. 물리적 차원의 일부로서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은 ‘어느 곳에서나’ 만난다. 만약 그러한 환경이 안전, 온화함, 감정 환기, 적정 시설, 접근성 등과 같은 기본적 욕구들을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면, 리더 혹은 조직 생성자의 치료적 기술들은 그 기능을 잃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집단의 물리적 경험은 감정적이고 지적인 수준의 경험에 대한 준비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집단의 감정적 경험은 그 집단의 구성원들, 리더들의 자기 자신에 대한 감정들과 연관성이 있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발전하거나 혹은 서로간의 갈등들이 발생되면서, 집단이라는 환경 속에 있는 각 개인들은 변화의 과정에 도움이 되고, 감정을 해소시켜주는(cathartic) 감정의 여행(emotional journey)을 경험하게 된다. 집단의 경험에 있어 지적인 차원들은 그 집단에 참여하기에 앞서 우선 설정되어야 할 몇몇 기준들(parameters)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준들에는 집단의 목표, 집단의 결정들에 대한 책임의 수준, 집단의 과정에서 그 결정에 대해 누가 책임질 것인가 하는 책임 전가의 문제, 그리고 추구되고 공유되어야할 생각들 등이 있다. 집단 상담에 대한 경험적 구성요소들에는 학습 혹은 사회적 환경으로서 집단의 방법(medium)들이 포함된다. 집단의 구성원들은 상담에 참여하는 내내 그들의 일상생활에서보다 더 광범위한 활동들을 경험하게 된다. 경험적 학습은 통제된 환경 하에서의 사교적 능력과 기술들이 발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물론, 통제의 수준은 집단에 따라 다르지만, 집단에 대한 한계는 구성원들이 가지게 될 새로운 경험들에 대해 안전성의 정도를 제공해줄 수 있다.
집단 상담은 사람들이 ’타인들과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관계형성을 한다.‘라는 전제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타인들과 일어나는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관계‘는 상담자들이 ‘집합적 인간관계 과정의 지식을 의식적이고, 규율적(disciplined)이고, 체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외재적 합의(explicit agreements)’하에서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Beson, 2001) 이러한 정의를 사용하면서, 이 장에서는 집단 상담 이론들을 기초로 상정하며, 상담 기술들을 집단에 적용하는 데 있어 야기되는 복잡성들(complexities)에 대해 탐색해보려 한다.
집단 상담 이론 (Group Work Theory)
집단 내에 상담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사회복지사들에게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리더쉽과 집단 조직의 기술들을 요구한다. 막 조직되려는 집단에게 있어 필요로 되는 것은 일상생활과 그 집단을 분리해주는 기준들(parameters)과 구성원들에게 감정적, 물리적 안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집단의 기능과 목적을 한정 짓는데 도움이 되는 한계(boundaries)이다. 따라서 상담자들은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이전에 구성원들의 특성들을 포함한 집단의 구성에 대하여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그 집단이 젊은이들로 구성되어 있는가, 아니면 건강 악화를 경험해 본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는가 하는 문제 (2) 집단의 목적, 예를 들자면 그들의 희망이 성취될 것인가 하는 문제 (3) 집단의 형태, 예를 들자면, 그 집단이 미술 치료 집단인가 아니면, 그냥 상담에 한 번 와본 사람들(drop-in group)의 집단인가 하는 문제. 따라서 집단에서의 리더쉽이 그 집단의 과정들을 가장 잘 촉진하는 방법은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함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연관될 수 있다.
11살에서 12살 사이의 아동들이 일단 상담이 시작되면 새로운 구성원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정해진 단기 집단(a short-term group)을 구성하기 위하여 모였다.
혼성의 이 청소년들은 몇몇의 공통적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 각자는 사회적으로 ‘박탈적(deprived)’ 가족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아동 가족부’ 상황에서 사회 복지사들에 의해 사용되었던 말이다. 게다가, 각 청소년들은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었고, 동료들과 관계를 형성하려고 애쓰고 있었다. 그 중 몇몇은 학교에 결석하고 있는 이들도 있었다. 이 집단은 8주가 넘는 기간 동안 2시간짜리의 상담을 일주일에 한 번씩 받았다. 기초 자료들은 첫 상담에서 사용되었고, 그 후의 각 상담에서는 초반 15분 동안만 사용되었다. 상담의 마지막 회기까지 우리는 그들이 학교를 마친 후 소형 버스로 집에서 모아 데려왔으며, 상담을 마친 후에는 집단의 리더들이 집과 같은 곳에 내려주었다. 아동들과 두 명의 집단 리더 모두가 버스로 집으로 가는 동안 시간을 함께 보냈기에, 이러한 시간들은 아동들이 집단에서 보낸 시간에 대략적으로 첨가되었다. 집단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은 그들이 소형 버스에 탈 때 시작해서 상담 후 버스에서 내릴 때가지 계속 되었다. 이 집단의 목적은 경험적 학습의 방법을 통하여 아동들이 사회적 기술들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이 집단은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동안 아동들을 위한 ‘모험’이라는 주제로 활동에 기반을 두게(activity-based) 된 것이다.
사회복지에의 적용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