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영미사회와 문화의 이해-유대인

 1  영미사회와 문화의 이해-유대인-1
 2  영미사회와 문화의 이해-유대인-2
 3  영미사회와 문화의 이해-유대인-3
 4  영미사회와 문화의 이해-유대인-4
 5  영미사회와 문화의 이해-유대인-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미사회와 문화의 이해-유대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미사회와 문화의 이해
유대인
- 서론 -
이번 학기 동안 다문화에 대해서 공부하며 제일 기억에 남는 주제는 유대인이 아닐까 생각된다. 유대인이라는 말을 들으면 떠오르는 많은 이미지 중에서 셰익스피어 연극의 돈만 밝히는 잔인한 베니스의 상인, 나치에 의에 핍박 받던 많은 유대인들, 현재 전 세계를 움직이며 많은 부와 권력을 지닌 유능한 유대인등 많은 이미지가 있지만 지금 내가 말하고자 하는 유대인은 수세기 동안 이민족들에게 핍박 받고 박해 받았던 유대인들, 그들의 역사를 통하여 우리의 부끄러운 과거를 반성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Number the stars에 이어 그때 프리드리히가 있었다.의 책장을 넘기게 되었다.
- 본론 -
두 이야기 모두 유대인 학살을 소재로 하고 있다. 동유럽에서 시작되어 전 유럽으로 퍼져나간 ‘유대인에 대한 적대적인 반감’의 원인은 무엇일까? 땅을 잃고 유럽 전역으로 흩어진 유대인들은 전당포, 사채업등을 하였고 당시에는 남의 피 빨아먹는 비윤리적인 직업이라며 백정처럼 천하게 여겨서 유대인들 외에는 기피하는 직업이었기 때문에 유대인들이 독점하다 시피 하였고 결과는 제2금융권을 장악하는 큰손들이 되었다. 지금도 미국을 뒤에서 움직이는 큰손들은 유대인들이다. 마치 오늘날 일본인들이 우리나라 사채대부업을 장악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당시에는 스크루지 영감처럼 손가락질 받는 공공의적이었고 그런 배경에서 유대인들의 학살에 암묵적으로 동조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던 것이다.
이와 맞물려 게르만족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중앙집권체제를 강조한 히틀러의 나치즘에 유대인들은 방해 요소가 된다. 1933년 독일을 장악한 히틀러는 이를 성취된 제국이라고 명명하며 천년 왕국을 계승한 적통이 독일 아리안족이라고 주장한다. 히틀러는 예수님이 초림한 후 하늘로 올라가시고 적그리스도 세력에 의해서 세상이 혼탁해지는데, 그 적그리스도의 대상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유대인이라고 규정하며 적그리스도인 유대인들을 박멸대상으로 선포한다. 그리고 예수님 재림 직전 적그리스도로 부터 세상을 지키는 것(유대인 학살)을 독일 아리안족의 사명으로 여긴다. 또한 서방자본주의 세계는 ( 서양의 문예 부흥기에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유럽에 널리 퍼진 정신 운동. 가톨릭교회의 권위와 신 중심의 세계관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고, 그리스, 로마의 고전 문화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인간의 존엄성 회복과 문화적 교양의 발전에 노력하였다
인문주의- 세속적 인문주의- 인간중심, 신 부정, 민주주의)로서 타도의 대상으로 보았으며, 홀로코스트 나치가 12년(1933~45) 동안 자행한 유대인 대학살
가 기독교와 관련이 있는 것은 유대인, 신비주의자이자 이교도들
집시, 동성연애자(반기독교적)까지 박멸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소수였지만 독일에 많은 부와 지위를 획득한 유대인들은 독일 내에서 사회적불만의 대상 이였으며 전시라는 상황 속에서 대량 학살이 초래되고 만다.
두 이야기는 닮았지만 다른듯하다. Number the stars와 ‘그때 프리드리히가 있었다’ 모두 2차 세계대전의 유태인 문제를 다르고 있는 작품으로 ‘안네의 일기’가 유태인 소녀의 눈으로 본 나치와 유태인 탄압을 그렸다면, Number the stars는 유대인들의 입장이 아닌 제 3자인 덴마크의 한 소녀 안네마리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 하고 있다. 민족주의의 폐단인 전쟁을 통해 인간이 얼마나 악 할 수 있는지 또 한편으로는 인간의 선함과 긍정적인 면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그때 프리드리히가 있었다’는 독일인 소년이 자신의 친구 유태인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다가가는 새로운 각도의 글이다. 가해자이면서도 오히려 살짝 비켜선 듯하다. 이 시선은 독일인들 스스로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했다. 지나간 한 장면 한 장면을 정직하게 기억하는 독일인 소년 라인하르트가 다정한 유대인 친구 프리드리히에 대해 남긴 기억의 조각들인 샘이다. 1인칭 관찰자 시점이면서도 유대인 친구의 학살에 대해 너무나도 무력하면서 비참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살아남은 자의 치욕에 대해서 조심스럽게 말하고 있는 것 같았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