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

 1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1
 2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2
 3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3
 4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4
 5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5
 6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6
 7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7
 8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8
 9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 1 정직한 행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칸트의 도덕 윤리와 초등 교육에의 적용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 개괄
2. 쟁점
3. 사례 분석
4. 초등교육에의 적용
Ⅲ. 결론
Ⅰ. 서론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신의 이익 또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다. 솔직히 지금까지는 도덕이나 윤리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본 적이 별로 없어서 잘은 모르지만, 수업 들으며 어렴풋이 알게 된 여러 사상가들의 이론 중에서는 공리주의가 가장 현실과 가깝고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여러 자료를 찾아 읽어보면서 진짜 옳은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고민하게 만드는 것이 동기와 결과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현실 속에서는 나도 조금이라도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선택들을 하며 살고 있고, 극단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좋은 결과를 위해서는 조금 옳지 못한 행동이라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진짜 옳은 것은 결과보다는 동기가 옳은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칸트를 선택하게 된 또 하나의 계기는 "네 의지의 격률(格律)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 라는 구절에 있다. 고등학교 1학년 담임선생님께서 다이어리에 적어주신 글귀였는데, 단어도 어렵고 처음엔 무슨 말인가 했지만 나의 의지를 통해 나의 행동 하나하나가 모든 사람이 옳다고 생각하게 나의 인생을 채워나가겠다는 좌우명이 되었다. 물론 아직은 이런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하기에 부끄러운 점이 많기에 칸트의 이론을 좀 더 공부하는 이 시간이 나의 삶의 전환점이 될 수 있지 않을까하여 선택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이론 개괄
자연적 존재로서 인간은 짐승과 마찬가지로 생물적 본능의 지배를 받고 충동적 행동을 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인간은 이성을 타고난 존재로서 자연적 존재인 짐승과 구별된다. 이 이성을 계발하게 되면 인간은 욕망충족에 만족하기보다 욕망을 억제하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지혜를 터득하게 된다. 칸트는 인간을 이성으로 도덕법칙을 입법할 수 있는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
1) 의무의 윤리학
칸트는 도덕적 삶에 대해서 당대의 철학자들과는 정반대의 입장을 취한다. 일련의 철학자들이 감정이나 경향성의 만족이 도덕적 삶을 구성한다고 한 데에 비하여, 칸트는 자신을 욕구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이 도덕적 삶이라고 보았다. 이전에 등장했던 어떤 도덕 철학자들보다도 칸트는 의무를 도덕적 삶의 중심에 놓는 확고한 입장을 취한다. 『서양윤리학사』, 로버크 L. 애링톤, 김성호 역, 서광사, 2003
도덕적 가치란 오직 우리가 의무로부터 행위할 경우에만, 즉 우리가 그렇게 행위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은 곧 의무가 그런 행위를 하는 동기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도덕교육론』, 유병열, 양서원, 2006
행위가 도덕적 가치를 가지려면 단순히 의무와 일치하게 행동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가 않다. 만약 어떤 행위가 동정심에 근거한 것이라면 그것은 도덕적 가치를 가진다고 볼 수 없다. 동정심이란 주관적이고 상대적이기 때문에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도덕법칙에는 적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도덕적 가치를 가지려면 의무감으로 그 행위를 행해야 한다. 때문에 칸트는 도덕적 가치가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은, 어떤 사람이 자신의 의무를 행하고 싶은 마음이 별로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무에 따라 행위하는 경우라고 말했다. 이 경우 행위의 동기가 오로지 의무감뿐이기 때문이다. 『서양윤리학사』, 로버크 L. 애링톤, 김성호 역, 서광사, 2003
인간이 의무감으로부터 행위한다는 것은 원리에 따라서 행위하는 것이다. 이는 그 원리가 개인으로 하여금 그렇게 하도록 강제하기 때문이다. 인간 의지의 동기로 작용하는 원리를 칸트는 준칙이라고 불렀다. 칸트는 도덕적 삶이란 원리에 따르는 삶이며, 도덕적 개인은 원리에 잘 따르는 사람이라고 했다. 『서양윤리학사』, 로버크 L. 애링톤, 김성호 역, 서광사, 2003
그는 감정이나 경향성에 호소하지 않으며, 준칙이나 의무감에 근거하여 행동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