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

 1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1
 2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2
 3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3
 4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4
 5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5
 6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6
 7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7
 8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8
 9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칸트의 정언명법 제 1정식의 이해와 그 문제점
목차
1. 칸트의 윤리학
- 형식주의 윤리학, 의무론적 윤리설
2. 정언명법과 그 정식
3. 정언명법 제 1정식 - 이해
4. 정언명법 제 1정식 - 문제점
5. 토론해 봅시다.
1. 칸트의 윤리학 - 형식주의 윤리학, 의무론적 윤리설
도대체 무엇이 정의며 무엇이 선인가? 인간이 선하게, 정의롭게 살아야할 이유는 무엇인가?
목적론적 윤리설 VS 의무론적 윤리설
목적론적 윤리설은 행동의 결과가 많은 사람을 만족시켜주는 좋은 결과를 가져올 때는 그 행동은 선이라고 말한다. 즉, 한 행동의 선함 여부는 그 행동의 결과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이 선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도 선하게 사는 것이 결국 자신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 윤리설의 대표적인 주장이 인류 역사상 가장 넓게 영향을 미친 ‘공리주의’이다.
의무론적 윤리설은 한 행동의 옳고 그름은 그 행동의 결과에 관계없이 일정한 규칙을 지켰는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이다. ‘행위의 결과가 자타에게 유리한가, 불리한가’하는 판단은 ‘좋은가, 나쁜가’라는 윤리적 판단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이 선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도 그 행동의 결과가 가져올 이익이나 손해에 관계없이 그렇게 사는 것이 옳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의무론적 윤리설, 혹은 윤리적 형식주의라 부른다. 어떤 결과가 날 것인지는 인과관계에 의거하여 조사하지 않아도 좋은지 나쁜지 직관적으로 금방 알수 있다하여 직관주의 혹은 직각주의라고도 부른다. 이 윤리설의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칸트’다.
2. 정언명법과 그 정식
(1) 가언명법 VS 정언명법
가언명법은 "만일∼라면 X를 하라","만일 ∼라면 당신은 X를 해야 한다."라는 형식을 취한다. 예컨대 "당신이 건강하기를 원한다면 많은 운동을 하라", "행복하려면 돈을 많이 벌어라" 같은 것이다. 이러한 명법은 우리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설득력을 지닐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정언명법은 조건(if)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게 대하라"는 도덕적 명령이 "타인들을 적으로 삼지 않으려면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친절 그 자체를 위해 명령되는 것이지 자기 이익적인 어떤 목적을 위해서 명령되는 것은 아니다. 정언명법인 도덕법칙은 어떠한 경우에도 무조건적으로 따라야 하는 것으로 의무의 성격을 띠며, 그 대가는 건강이나 행복이 아니라 자유로운 이성적 인간임을 다시 한 번 확인 해준다는 것뿐이다.
(2) 정언명법의 정식화
제 1정식 - 보편 법칙의 정식 (형식과 관계)
"너의 준칙이 보편적 법칙이 되기를 너로 하여금 동시에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 그러한 준칙에 따라 행위 하라"
제 1정식은 불공평을 배제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는 어떤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은지 그른지 자기 자신에게 물어 보아야 한다는 말이다. 바꿔 말하면 자기 자신을 위해 예외를 만드는 것은 도덕적이지 않다. 이 정식은 무엇이 행위를 옳게 하는지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지 않다. 단지 어떤 행위가 그른가를 알아내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할 뿐이다. 도덕적 의미에서 "하여야 한다."(ought)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는 판단은 보편적 명령의 형식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정언명법의 형식에 관계된다고 말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