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인문과학 한국전쟁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

 1  인문과학 한국전쟁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1
 2  인문과학 한국전쟁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2
 3  인문과학 한국전쟁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3
 4  인문과학 한국전쟁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4
 5  인문과학 한국전쟁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5
 6  인문과학 한국전쟁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한국전쟁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전쟁 -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
목차
Ⅰ. 한국전쟁의 발발과 전개
Ⅱ. 한국전쟁의 원인
Ⅲ. 한국전쟁의 책임 문제
Ⅳ. 한국전쟁의 결과와 영향
Ⅰ. 한국전쟁의 발발과 전개
▶1950.6.26~6.30(내전) : 북한군은 6월 25일 새벽 사전예고나 선전포고 없이 북위 38도선 전역에 걸쳐 대규모의 남침을 개시하였다. 아무런 준비도 없이 공격을 당한 남한 측은 계속 후퇴하여 6월 27일 이미 정부를 대전으로 옮겨야 했다. 북한군은 전쟁 개시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하고, 2개월 후에는 낙동강 일대까지 진격하였다. 6월 26일 안전보장이사회가 소집되고 미국주도로 16개국이 참전한 유엔군이 파견된다. 한국 정부는 유엔군 사령관 맥아더에게 한국군의 작전권을 이양하였다.
▶1950.6.30~10.19(국제전Ⅰ) : 유엔군은 9월 15일 인천 상륙작전을 감행하여 전세를 역전시키고 9월 28일 서울을 수복하였다. 10월 1일 국군 3사단을 선두로 하여 38선을 넘어 북한 영토로 진격해 들어갔다(유엔의 사후 승인). 10월 19일 평양을 점령했다. 10월 하순 압록강변의 초산에 진입했다.
▶1950.10.19~1953.7.27(국제전Ⅱ) : 중공군 참전, 유엔군은 11월 28일 전면적인 후퇴를 결정했다. 전쟁은 미군과 중공군의 전면전으로 바뀌게 됐다 이 때 맥아더는 미국 정부에 원자폭탄 사용까지 건의하게 된다. 트루먼 대통령도 심각하게 이 문제를 고려했다. 그러나 세계적인 반전 여론과 소련과의 전면전을 우려해 무산되었다. 이어 맥아더가 해임되고 후임에 리지웨이 장군이 임명되었다.
. 1951년 1월 4일 서울이 다시 인민군에게 점령되었다. 유엔군과 한국군은 평택, 오산까지 밀려났다. 전열을 재정비한 후 다시 총공세를 전개하여 1951년 중반에는 지금의 휴전선 일대까지 전선을 밀어올렸다. 이후 전선은 38선 부근에서 교착상태에 빠졌다. 1951년 6월부터 유엔군과 북한군 및 중국 공산국 사이에 정전 회담이 시작되었다. 와중에도 점령지역을 확대하기 위한 소모적인 전투가 격렬하게 계속되었다. 1953년 7월 27일 미국과 중국북한 사이에 정전협정이 체결되었다.
Ⅱ. 한국전쟁의 원인
20세기 인류 역사상 냉전의 정적을 깨고 처음으로 공산진영과 자본주의 진영이 맞닥뜨린 이 전쟁의 요인과 원인을 단순히 규정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전쟁이 터진 이면에는 국제적으로 미소 양 진영의 첨예한 대립과 민족 내부의 모순에서 오는 갈등이 아주 복잡 미묘히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전쟁의 요인에 관한 연구도 크게 국제적 요인(외인론)과 국내적 요인 (내인론)으로 나뉘어져 연구된다. 그러나 한국 전쟁에 관한 초기의 연구들은 전통주의나 수정주의 학파 모두 국제적 요인에 치중하고 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시각 모두는 외인론에 근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상반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1. 전통주의 해석
전통주의자들은 그 전쟁이 한반도 전체를 공산화하려는 소련의 주도하에 북한이 한국을 침략함으로써 일어났다고 생각했다. 한국전쟁의 기원을 스탈린의 침략적 제국주의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즉 스탈린이 한국전쟁을 지원하여 일으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견해는 명백하게 입증할 만한 결정적인 증거 내지 자료가 발굴되거나 존재하지 않아서 오직 정황들에 의한 분석만이 가능할 따름이었다. 그 뒤 1970년에 간행된 후루시초프 회고록이나, 미영의 개략적인 비밀문서 공개, 6.25 당시 노획한 문서들, 그리고 최근 공산 인사들의 증언들을 통해 이러한 전통주의자들의 가설은 점차 보완되고 수정주의 입장의 논리에 비해 점차 비교 우위를 차지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몇 년 전에 러시아가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김일성과 스탈린이 1949년 이미 남침을 계획하고 김일성의 남침요구에 스탈린이 적극적으로 전쟁을 지원했으며 거기에 세계정세에 어두웠던 모택동까지 전쟁에 찬성하고 북한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무척 주목할 만한 사실이라 하겠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전통주의 해석은 진부한 느낌이 든다. 그것은 국제 문제에 있어서 스탈린의 태도가 호전적이지 못하였다는 사실과 당시 한반도 내 남북한간에 고조되어 가던 심각한 대결 구도의 형성 과정 등의 중요한 국내적 요인을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