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

 1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1
 2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2
 3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3
 4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4
 5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5
 6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6
 7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7
 8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8
 9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9
 10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개항이후의 매춘 역사의 정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매춘이란
2. 매춘의 기원
3. 매춘의 역사
(1) 외국 매춘의 역사
A. 그리스인의 매춘
B. 로마인의 매춘
C. 인도인의 매춘
D. 중국인의 매춘
(2) 한국 매춘의 역사
A. 고려시대의 기생
B. 조선시대의 매춘제도
C. 일본 제국군대의 조선 진입
D. 미군의 주둔, 매춘의 변화
E. 산업화, 도시화
F. 우리나라 매춘의 현실
가. 매춘의 규모
나. 매매춘 시장
(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2) 부산 초량동
(3) 매춘부업
4.기타
(1) 매춘업과 SCREEN의 관계
(2) 매춘녀들의 인권
본문내용
1. 매춘이란
우리 사회에서 매춘은 일반적으로 오입, 윤락, 매춘, 매음, 매매춘, 매매음 등의 용어로 불린다. 이러한 용어와 규정에는 매춘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어디에 두는가, 누구의 눈으로 다양한 매춘의 현실을 보는가 등의 관점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매춘 문제의 원인과 현실, 그리고 대안을 모색할 때 용어 사용은 중요한 정치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우리가 기존의 용어들을 검토하고 새로운 관점을 담을 수 있는 용어를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은 이 문제에 대한 관점을 드러내게 되며 그 자체로 하나의 실천력을 갖게 된다.
먼저 이제까지 주로 사용되어 온 용어들의 의미를 살펴보자. 우리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윤락이니, 매춘이니 매음 등은 '성을 파는 행위' 만을 규정하는 용어들이다. 물론 이러한 용어들에서 '성을 사는 행위'는 제외되어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성을 파는 행위에 문제의 초점을 맞추고 도덕적인 비난을 돌린다는 점에서 문제를 안고 있다. 예를 들어 법적인 용어로 상용되는 '윤락'이란 '스스로 타락하여 몸을 버린다'는 의미를 갖는데, 이런 무시무시한 낙인은 성을 파는 사람에게만 찍힌다. 우리사회에서 법이 정하는 윤락 행위자, 즉 스스로 타락하여 몸을 버리는 자는 성을 파는 사람이며, 손님은 윤락행위자가 아닌 그저 '상대방'일 뿐이다.
대부분의 매춘부가 여성임을 감안할 때 윤락이란 결국 여성에게 부과되는 용어이며 상대가 되는 자는 도덕적 면죄부를 받는 셈이다. 이는 성을 사는 사람이 대부분 남성임을 헤아려 볼 때 이중 규범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윤락, 매춘, 매음 등의 용어는 매춘의 문제를 '파는 자'에만 초점을 맞추고 성을 파는 행위자에 대한 도덕적 비난을 함축하고 있는데, 실제 매춘은 성을 파는 사람이 아니라 성을 사는 사람들의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핵심을 놓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슈레이쥐는 매춘을 "남성이 여성의 성적 서비스를 구입하는 것과 관련된 행위"로 정의하기도 하였는데 그것은 매춘 문제의 근원을 성을 사는 남성의 문제로 보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페미니스트나 매춘 여성을 위해 일하는 현장 활동가들은 매춘이 '팔고 사는 행위'라는 점을 강조하고 '매매춘'이란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한다.
이때 성이 매매되는 현상에 굳이 '봄'이란 은유적인 표현을 사용해야 하는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물론 '춘'자는 춘화, 회춘 등 일반적으로 성을 가리킬 때 널리 사용되는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의 문제는 그것이 일본식 한자어라는 사실을 문제 삼지 않더라도 성을 고정 불변의 자연적인 현상으로 간주하는 시각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왜 성을 봄에 비유하게 되었을까? 춘정, 즉 성욕이란 봄에 새 생명이 돋아나듯 지극히 순환적이고도 자연적인 현상임을 내포하고 있는 것인데 이는 결국 성욕을 필연적인 것, 고정된 것으로 포장하는 용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파는 행위의 대상인 '성'을 새 생명의 싹을 틔우는 봄에 빗대어 '춘'으로 표기하는 것은 매춘으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들을 감추게 될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용어 사용의 정치적 의미에 덧붙여 성이 '매매' 또는 '거래' 되고 있다는 측면을 부각시키는 일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매춘은 범 문화적이고 초역사적인 내용을 갖기보다는 서로 다른 역사와 문화의 조건에서 생성되고 변화되어 왔으며 변화될 수 있는 산물로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매춘이 일어나는 특수한 맥락은 성이 상업화되어 있으며 자본주의 성 산업의 메커니즘 속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매춘, 매음 등의 용어는 여전히 행위자중심의 개념이므로 이러한 메커니즘을 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매매춘이라는 용어는 기종의 언어 습관 때문에 '성을 사고 파는' 의미보다는 성을 파는 의미, 즉 매춘의 의미로 사용될 때가 많다.

하고 싶은 말
잘정리된 좋은 자료이니 믿고 구입하셔도 됩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