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

 1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
 2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2
 3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3
 4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4
 5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5
 6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6
 7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7
 8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8
 9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9
 10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0
 11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1
 12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2
 13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3
 14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4
 15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5
 16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6
 17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7
 18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8
 19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19
 20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소비문화] 소비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 브랜드와 광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소비사회와 문화

Ⅱ. 상징과 브랜드
1. 이론적 고찰
1) 상징의 정의 및 원리
2) 상징의 기능
3) 브랜드의 정의
2. 문화의 브랜드화
1) 브랜드의 확장
2) 문화의 브랜드화
3) 문화의 브랜드화의 문제

Ⅲ 문화의 상품화
1. 문화유행의 발생과 맥락
2. 실증분석: 한국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1) 하드코어와 문화자본
2) 테크노의 표상관계
3) 이박사의 음흉한 도전

Ⅳ. 대안적 문화 운동과 NGO 역할
1. 80 , 90년대의 문화 운동
1) 80년대 문화운동 VS 90년대 문화 운동
2) 90년대 문화 운동의 변화 양상
3) 문화연대를 통해 본 NGO 활동
4) 90년대 문화 운동의 특징
2. 대안적 문화운동
1) 선행과제
2) 대안적 문화운동을 위한 실천 토픽들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소비사회와 문화

소비사회는 하나의 구성체이다. 그것은 인간성과 행위를 형성하며, 또한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그것의 영향은 우리의 모든 삶의 영역에서 체험되어 진다. 이 속에서 우리는 개인의 자아상실과 상호관계성의 와해를 경험하게 된다. 인격적인 상호관계성의 와해는 인격에 대한 일반화된 과소평가와 소외된 사람들의 외면, 그리고 인간적 욕구를 끝없는 소유욕에서 해결하려는 사회 경제적 맥락에 반영되어 있다. 소비사회의 문화적인 삶의 맥락을 숙고해 볼 때,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말하는 대로 해체된 인격적 자아가 소비주의적 삶의 방식의 주요한 특징임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정체성을 외적 소유나 외양, 스타일 등에서 찾으려고 노력할수록, 얻게 되는 것은 내적인 공허감이다. 소비사회에서는 돈이 인간적 가치의 주요한 상징처럼 보이지만, 소비하는 자아란 실상 주체성의 상실에 다름 아닌 것이다. 광고가 주장하는 대로 모든 것을 다 소유해도 '그럴 듯 해 보이는 의양', '껍데기' 이외에는 우리의 존재에 도움이 되는 실재성은 아무것도 없다. 더 이상 소비하지 않을 때는 고독만 남는다. 아무리 열심히 쇼핑하고, 외양을 다듬어도 근본적으로는 행복해질 수 없다. 소비적 가치를 통해서는 자아의 상실밖에는 얻어지는 것이 없다. 자아의 상실은 자신의 삶을 중독적 패턴으로 이끌게 된다. 텔레비전은 우리의 감정을 통제하고, 내면적 삶을 무디게 만든다. 우리의 내면을 이미지나 충동으로 채우고, 정체성을 돈벌고 소비하는 일에서 찾는 것은 우리가 진정한 내면의 세계를 잃어버렸다는 증거이다. 우리가 내적인 삶에 참여할 수 없다면, 타인들의 내적인 삶에도 참여할 수 없을 것이다. 광고는 사람들과의 인격적인 관계가 아닌, 상품의 소비를 통해서 위안을 얻을 수 있다고 설교한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 스스로에게서 소외되었기 때문에 인격적으로 타인을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응숙, 소비문화이데올로기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김용직, 상징, 문학과지성사, 1988

박종균, 기독교와 문화-소비사회 문화와 종교, 세계의 신학(통권 47호), 2000

이동연, 대중문화연구와 문화비평, 문화과학사 2002

노장오, 브랜드 마케팅, 사계절, 1992

박정순, 대중매체의 기호학, 나남, 1997

김유경, "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2000(49호)

롤랑 바르트, 현대의 신화, 동문선, 1997

양건열, 비판적 대중문화론, 현대미학사, 1997

마이크 페더스톤(정숙경옮김),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 현대미학사, 1999

나오미 클라인(정현경옮김), No logo:브랜드파워의 진실, 중앙M&B, 200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