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

 1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1
 2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2
 3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3
 4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4
 5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5
 6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6
 7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7
 8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이강백 `파수꾼`의 공간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희곡과 공간
2. 망루
3. 황야와 마을
4. 매개체: 해설자, 운반인, 촌장
Ⅲ. 결론
본문내용
1. 희곡 공간의 특성
희곡과 소설은 일정한 사건을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읽히는 무대지시문은 소설적인 서술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과 각 장르에는 등장인물들이 있고 그들의 대화와 행동으로 인하여 사건이 진전되는 비슷한 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러나 소설을 창작하는 데에는 별다른 제약이 따르지 않아서 환경, 사물의 외부, 정신세계를 자유롭게 묘사할 수 있고 시간과 공간의 이동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반면 희곡을 창작하는 데에는 제약이 따른다. 소설은 시각을 통하여 전달되는 문자를 매개로 하여 독자들에게 대리경험을 제공하지만, 무대 위의 사건을 전제로 한 희곡은 목격된 사건을 보여 주고 들려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등장인물들이 현존하여 어떤 사건을 만들어 내려면 그 인물들이 현존하는 특정한 공간이 존재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극 공간은 학자마다 여러 가지로 분류되어 정의 된다. 미셸 프루나뤼는 연극 공간을 무대 공간과 드라마 공간이라는 이중성으로 정의내리고 있으며, 이샤샤로프는 연극공간을 크게 모방(Mimetic) 공간과 서술(Diegetic) 공간으로 나누었다. 또한 연극학자 파비스(Pavis)는 공간의 개념을 좀 더 세분화시켜 드라마 공간, 무대 공간, 무대 예술적 공간, 놀이 공간, 텍스트의 공간, 내적 공간의 6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윤지선, 「이강백 희곡의 공간 연구」, 『어문학교육 제36집』, 2008, pp.271~272

이렇듯 희곡에서 공간의 개념은 각 학자마다 견해가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크게 두 가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무대 공간’과 ‘드라마 공간’이 그것이다.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1990, pp.119~121

‘무대 공간’은 희곡 속에 드러나 있는 객관적 공간을 말한다. 이곳은 배우의 연기가 이루어지고 관객이 구체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공간이다. 반면 ‘드라마 공간’은 관객이나 독자의 상상에 의해 구현되는 공간이다. 등장인물의 대화, 지시문 등에 포함된 공간으로 극작가의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는 주관적 공간이기도 하다. 상연의 장소인 무대 공간과의 관계에서
참고문헌
< 텍스트 >
『현대문학텍스트 읽기』


< 참고논저 >
김영일, 『한국희곡입문』, 느티나무, 1996.
곽지연, 「이강백의 초기 단막극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1998.
백현미, 「이강백 희곡의 반복 구조와 반복의 철학」, 2005.
베른하르트 아스무트, 송전 역, 『드라마 분석론』, 한남대학교 출판부, 1986.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1990.
윤지선, 「이강백 희곡의 공간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2008.
이상란, 「연극적 상상력과 담론통제」, 한국연극학회, 1998.
최상민,「이강백 희곡 에 나타난 담론 특성 고찰」,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