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사회교육]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계획안

 1  [사회교육]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계획안-1
 2  [사회교육]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계획안-2
 3  [사회교육]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계획안-3
 4  [사회교육]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계획안-4
 5  [사회교육]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계획안-5
 6  [사회교육]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계획안-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교육] 스트랜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계획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선행 연구의 검토

II. 스트랜드 중심의 교육과정의 배경과 구성원리
1. NCSS 사회과 표준안의 등장 배경
2. NCSS 사회과 표준안의 구성원리

III. 미국 스트랜드 중심의 교육 사례 및 우리나라의 도입 가능성
1. 미국 스트랜드 중심의 교육의 이해
2. 미국 스트랜드 중심의 교육의 장단점

IV. 문화, 정체성과 인간, 공간과 환경 중심의 교수-학습 단원 구성
1. 우리나라의 스트랜드 중심의 교육 도입 가능성 모색
2. 우리나라 사회 이슈를 스트랜드 중심의 교수-학습 단원 구성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외 사회과교육자들의 주목을 받는 최근의 연구성과는 미국에서 1994년에 출판된 NCSS의 "수월성 추구: 사회과 교육과정 표준안(Expectations of Excellence: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이다. 이 표준안에서 사회과는 시민적 자질의 향상을 위한 사회과학과 휴어니티가 통합된 다학문적, 학제적 교과이므로 지리, 역사와 같은 단일 교과보다는 문화 등의 10개의 주제 스트랜드의 활용을 통해 구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교원대학교 통합사회 교육과정 연구위원회, 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의 통합 운영 모형 및 교수 학습자료 개발”
사회과 학생들에게 사회과의 핵심 부분을 통합된 방식으로 가르치며 학생들은 이러한 과목간의 상호 관련성과 다른 사회과학을 통합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스트랜드 스트랜드는 사회과 교육의 영역에 있는 개념, 주제, 문제, 이슈, 일반화, 법칙, 가치 등을 모두 종합하여 사회과에서 가르쳐야 하리라고 생각되는 것들을 종합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준거이다. 이들 스트랜드는 사회과교육의 철학, 목적과 목표, 기본 방향등에서 궁극적으로 추출되어 나오는 것이다.
가 필요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10개의 스트랜드 주제 중에서 문화, 정체성과 인간, 공간과 환경의 두가지 스트랜드를 사회의 이슈에 연관시켜 보고자 한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여러 사회 이슈 이슈는 사회과 교육을 조직하는데 전통적으로 사회적으로 구조화되고 지적으로 제한된 사회과학과 같이 제한된 범주의 지식보다 더 적절한 틀을 제공한다. 사실, 전통적인 학교에서는 형식적인 지식의 구조만 강조했으면, 이슈가 너무 유동적이고 시사적이어서 학문적으로 존중받을 가치가 없기 때문에 이슈에 대한 연구를 소홀히 했다. 전통적인 사회과교육은 명확한 해답이 있는 질문만 다루어 쉽게 자료를 이용하고 내용을 암기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반면, 이슈는 명확한 대답이 없이 복잡하고 유동적이어서 수업을 생동감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사회과 교육은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J.L. Nelson, 1996: 21-22)
를 문화, 정체성과 인간, 공간과 환경의 관점에서 창의적이고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논의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재형(1998), “통합 지향적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사회과 교육연구 제 5호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 교육연구회, pp. 12-13

김유수(2003), “주제 스트랜드 중심의 초등 사회과 학습단원 개발”

이진석(1997), “사회과 통합교츅과정의 국내외 동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 25집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차경수, 조도근, 이진석(1997). “고등학교 공통사회의 완전통합 단원 구성 연구”. '96 교과교육공동연구 결과보고서.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최만식, 2001, “미국 NCSS '문화‘ 스트랜드 중심의 교수 학습 단원 개발”

최병모, 2000,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방안”

한국교원대학교 통합사회 교육과정 연구위원회, 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의 통합 운영 모형 및 교수 학습자료 개발”

Howard J. B. (1999). "Using a Social Studies Theme to Conceptualize a Problem."
The Social Studies July/August. NCSS. PP. 171-176

Krey D. M.(1995). "Operationalizing the Thematic Strands of Social Studies for Young Learners". Social Studies and the Young Learner. September/October. NCSS. pp. 12-1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