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

 1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
 2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2
 3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3
 4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4
 5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5
 6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6
 7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7
 8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8
 9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9
 10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0
 11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1
 12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2
 13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3
 14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4
 15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5
 16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6
 17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7
 18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8
 19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19
 20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사회계열
  • 2006.11.27
  • 28페이지 / hwp
  • 3,000원
  • 9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문방송,사회과학] 지식격차에 대한 국내연구 흐름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2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2

2. 지식격차 연구의 분류방법....................................3


Ⅱ. 본론............................................................5
1. 지식격차 개념...........................................5

2. 지식격차의 초상황적 요인에 관한 연구.............5

3. 지식격차의 특정상황적 요인에 대한 연구...........10
1) 정보 추구 동기, 관여도, 개인적 필요와 욕구 등...............11
2) 수용자가 갖는 미디어 이미지와 정보처리 전략.................16
3) 특정상황적 요인(개인간의 지식격차) 연구에 대한 결론....19

4. 지식격차 해소에 대한 연구.........................21

5. 지식격차 연구분야별 주체 분석.......................26


Ⅲ. 결론................................................................27

참고문헌.......................................................28
본문내용
Ⅰ. 서론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1970년 Tichenor, Donohue, Olien에 의해 매스 커뮤니케이션 학계에 소개된 Knowledge Gap 이론은 매스미디어를 사회 구성 도구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지닌다. 최초로 형성된 가설은 “사회의 체계로 매스 미디어의 주입이 증가할수록 높은 SES (socioeconomic status) 계층은 낮은 SES 계층보다 더 빨리 이러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두 집단간의 지식격차는 더 증가하게 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가설은 사회 내에서 매스미디어를 이용하여 지식을 균등히 배분하려는 시도는 필연적으로 실패할 것이며, 사실상 불균등을 양산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암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흥미를 가져 주었으며 ‘지식격차’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다른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격차’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러한 지식격차에 대한 다양한 원인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특히 Tichenor는 그의 초기 논문에서 격차의 증가를 설명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는데,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차이, 기존의 지식, 이슈에 대한 접촉량, 정보 노출과 보류력의 차이, 계층에 따른 매체 지향성이 지식격차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지식격차에 대한 연구가 보다 더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나마 국내에서 진행된 대부분의 지식격차에 대한 논의들은 엄밀히 말해 개인의 지식의 정도에 대한 격차에 대한 연구라기보다는 개인이 미디어를 이용하여 얼마나 많이 정보와 접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의 접촉에 대한 영향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지식격차 현상에 접근하고 있다. 또한 뉴미디어의 등장이 지식격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 개인이 지식을 습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회를 다수의 사람들이 한정된 권력을 추구하는 곳으로 파악할 때, 지식은 곧 자신이 원하는 지위를 획득하기 위해서 취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 정보에 대한 접근권, 처리 능력, 그리고 그로 인해 얻어지는 정보의 축적량은 모두 그 사람이 갖는 사회적 권리와 비례하여 왔으며 이에 비단 한 시대, 한 국가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특히 오늘날에 와서 정보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수반되는 현상들은 이른바 ‘정보 사회’라는 용어로 집약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가 공공문제에 관련된 것일 경우 정보에 대한 접근권과 처리능력은 필연적으로 개인의 사회적 위치에 영향을 받음과 동시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지식격차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지니는데, 이것은 그 자체가 사회적 갈등과 해결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부의 재분배와도 연관된 문제이다. 한국에서도 지식격차의 문제는 연구되어 왔다. 물론 지식격차가 지역적인 문제만은 아니지만, 지역적인 요인도 작용하는 것만은 사실인 것을 볼 때, 외국의 연구결과에 얽매이는 것보다는 한국의 실정에 맞는 연구가 진행되고 이에 따른 결과가 나올 때, 지식격차 해소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그동안 한국에서 진행된 지식격차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Nicholas P.Lovrich Jr. and John C.Pierce, "Knowledge Gap" Phenomena : Effect of Situation-Specific and Transitional Factors". Communication Research 11(1984). pp.425-434. : 김도연. 위의 논문 p.12에서 재인용.
강동욱. “디지털격차와 장애인의 정보불평등 해소방안”. 사회정책논총 12권 2호. 2000.
고순주. 강근복. “정보격차 해소 정책의 대안탐색에 관한 연구”. 정보화정책 제8권 제3호. 2001.
김광수. “도시속 계층간의 정보 격차와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에 관한 분석 연구 : 서울 강북과 강남의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하생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 2001
김도연. “지식의 격차와 그 관게변인의 상대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 1987
김영미. “인터넷과 여성, 그리고 정보격차”. 한국지역정보학회회지 제4권 제 1호. 2001
김철민. “지식의 격차와 미디어 채택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 1995
박성연. “대중 매체 이용이 공공문제에 대한 지식 격차에 미치는 영향 : 대중 매체 이용도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 1996
박응서. “사회적 지위와 대중매체 이용에 따른 지식격차 : 환경문제 지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과학언론학전 석사논문. 1997.
배성자. “뉴미디어 도입에 따른 정보이용격차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1995
배진환. “뉴커뮤니케이션 테크놀러지의 도입이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언론정보연구 32('95.12).
손경애. “한국 고등학생의 PC 이용 격차 경로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Vol. 19. No. 2. 2001
심상완. 김정석.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정보격차의 다원모형”. 한국인구학 제24권 제2호. 2001
심재철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