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불교사상과 신앙

 1  불교사상과 신앙-1
 2  불교사상과 신앙-2
 3  불교사상과 신앙-3
 4  불교사상과 신앙-4
 5  불교사상과 신앙-5
 6  불교사상과 신앙-6
 7  불교사상과 신앙-7
 8  불교사상과 신앙-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불교사상과 신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불교사상과 신앙』
1. 국가 불교적 면모
1) 불교의 전래 : 불교는 삼국이 중앙집권적 왕국으로 성립되어 초 부족 적인 상태로 변하고 있었던 무렵에 전래되어 왔다. 이 때에 전래된 불교는 폐쇄적인 씨족사회에 성립되었던 무격신앙(巫覡信仰)이나 조상숭배(祖上崇拜) 신앙만으로는 초부족 상태의 국가를 이끌어 갈 수 없었던 시대 흐름에 맞추어 부족 적인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고등종교, 철학으로서 각 씨족 사회를 규합시키고 중앙집권적 국사정신의 확립에 기여하여 중앙집권적 왕국의 기반이 되었다. 한국에 전래된 불교는 중국을 거쳐 받아들여지는 과정에서 국가적 성격을 강하게 띄어 고대국가의 지배자가 특권적 지위를 장엄하고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주술적 종교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본래 인도에서는 불교와 국가와의 관계에 있어서 정법(正法) 인도에서는 세간과 출세간을 관철하는 정법이라는 관념이 있었는데, 그 정법은 일체의 인간생활의 기준을 이루는 것이어서 크게는 국가의 정치에서부터 작게는 개인의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것을 떠날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국가와 불교의 관계는 불교교단이 정법의 호지전승자(護持傳承者)인데 비해 국가는 법을 활용하는 것이 되어 양자는 정법을 통하여 연결되었다. 그러므로 불법은 왕법과 공존하면서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런데 중국불교에서는 왕법과 불법이 전래초기부터 갈등을 빚게 되었고, 오랜 기간동안 대립항쟁과정을 거쳐 마침내 불법이 왕법 아래에 굴복하게 되었다.
을 근본으로 삼는 교주왕종(敎主王從)의 입장을 취하여서 국가적 종교의 색채가 강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중국불교에서 왕주교종(王主敎從) 중국불교 사상 불교가 국가의 지배체제와 연결되어 국가 종교적 색채를 농후하게 띠게 된 것은 남북조시대부터였다. 그 가운데 호족 치하의 북조에서는 불법과 왕법의 대립을 자각하지 못하고 불교도는 그대로 지배자와 결합하여 상호 이용하는 관계를 형성했고, 조사ㆍ조상 등의 불사가 그대로 황제와 국가의 융성과 안태에 직결되는 것이었다.
으로 바뀌고 한국불교에서는 왕법(王法)과 불법(佛法)이 처음부터 일체시 되어 받아들여져서 국가와 불교는 완전히 유착하게 되었다.
2) 각 시대별 불교의 국가적 색채
(1) 삼국시대
① 신라 : 한국 불교 역사상 불교가 왕권과 결합되어 국가적 색채를 농후하게 띠게 된 것은 삼국시대부터이고 삼국가운데 신라불교가 가장 두드러졌다. 신라는 삼국 중 문화수준이 가장 낮고 국가의 성장도 제일 늦어서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왕권의 강화를 추진하였다. 그래서 신라의 왕실은 국왕을 부처와 동일시하거나, 아니면 홍법(弘法)의 전륜성왕(轉輪聖王) 인도사회는 석가시대부터 공화국들이 신진 왕국들의 위협을 받아 쇠퇴기에 접어들고 있었다. 그리고 강력한 왕국 중심으로 통합이 추진되면서 초부족적인 정신을 모색하면서도 도시국가를 벗어나는 새로운 세계제왕의 관념이 출현하게 되었다. 원래 고대인도의 왕자관으로서는 원시사회계약설적인 입장과 신수설적인 입장을 찾아볼 수 있는데 석가가 세상을 떠난 이후 세계제국으로의 방향모색과 함께 두 왕자관은 융합되어 세계제왕 곧 전륜성왕 관념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 전륜성왕은 7종의 보(寶)를 가지고, 4종의 덕(德)을 갖추었으며, 무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법으로 전 세계를 통치한다고 하는 신화적, 이상적 제왕으로 관념되었다.
으로 보려는 진종설화(眞種設話)를 성립시켰다. 그리하여 32대 법흥왕부터 28대 진덕여왕까지의 왕명은 모두 불교에서 따오는 불교 왕명시대라고 할 수 있는 독특한 시대를 연출하였다.
② 고구려와 백제 : 고구려나 백제의 불교에 있어서도 국가적 종교의 색채를 띤 것은 마찬가지였으나 고구려는 삼국가운데서는 가장 선진적이어서 불교수입 이전에 국가성장을 하였으며 중국의 남북조와 교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서역이나 중앙아시아 지역과도 교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불교 일변도의 모방적 성격이나 미신적 성격을 면할 수 있었다.
또한 백제에서는 한군현 및 중국 대륙과의 교류를 통하여 중국 선진문화를 받아들이고 있었고 토착적 기반이 약한 왕실보다 귀족세력이 강대하여 국왕의 전제권력이 약하였다. 그래서 어느 정도 왕법에 대하여 불법의 독립성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백제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법회 같은 것은 개최되지 않았고 불교의 교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소승적인 계율(戒律)의 준수가 강조되었다. 이것은 신라불교가 그 수입초기 고구려를 통하여 중국 북조의 불교, 특히 국가적 색채가 강한 북위불교의 영향을 받았고 백제의 불교는 남조의 현학적(玄學的)불교 특히 양(梁)나라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데서 기인한다.
(2) 통일신라 : 삼국통일 뒤에 신라불교는 교학면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하여 한국불교 철학의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나, 삼국 시대에 성립된 신라불교의 국가적 성격은 그대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유교적 정치사상의 이해가 증가되면서 국왕 자체의 권위는 불교가 아닌 유교를 가지고 내세우게 되었다. 그리고 불교의 국가적 이용도 승려의 개인적인 이용에서부터 확대되어 교단을 통하여 화엄종(華嚴宗)과 법상종(法相宗) 같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왕실이나 귀족들에 의한 사원이나 불탑 , 불상 등의 조성이 크게 유행하였다.
(3)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 고려시대에는 유교사상이 정치이념으로 대두되면서 불교는 정치에서 분리되어 불교라는 종교적 관념이 정치 전반에 미치고 있던 영향도는 크게 줄었다. 그리고 고려 성종 때는 불교행사를 국가에서 잠시 제한 한 적도 있었으나 이러한 법회는 국왕에게는 국토의 평온, 일반 백성에게는 이익의 목적을 가진 의식적 성격이 강하였다. 이러한 국가적 불교, 미신적 불교라는 고려불교의 성격은 조선시대까지도 계승되어 억불정책으로 극히 제한적이기는 하나, 일반 백성들의 기복신앙과 승려들의 의병투쟁 등으로 그 기능을 발휘하였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정의행 1991 『한국불교통사』 한마당
方立天 1992 『불교철학개론』 유영희 역 민족사
불교시대사 편 1994 『한국 불교사의 재조명』 불교시대사
한국사학회 1986 『한국현대사론 한국 독립운동의 전개와 근대 민족국가의 수립』
을유문화사
고익진 1988 『한국의 불교 사상』 동국대학교 출판부
한국역사연구회 1997 『한국 사상사의 과학적 이해를 위하여』 청년사
가마타시게오 1992 『한국불교사』 신현숙 역 민족사
해주 1993 『불교 교리 강좌』 불광출판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