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

 1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1
 2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2
 3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3
 4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4
 5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5
 6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6
 7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와 생활 - 국어의 특성,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발표와 토론의 방법, 동양적 인간형,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언어와 생활
- 목 차 -
1. 언어와 생활
1) 국어의 특성
2)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3) 발표와 토론의 방법
4) 동양적 인간형
5) 정보사회의 문화양식: 이동, 네트워크, 합성
참고 자료
- 인터넷 검색
우리말 우리글 참고
출처: //my.netian.com/~stars21
//cafe.naver.com/speech2002
//blog.naver.com/greenrock/140010921327
//naver.com
//empas.com
1. 국어의 특성
모든 언어는 제각기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물론 한국어도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언어와도 유사하지 않은 특징이 있으며 그것은 위에서 말한 계통적으로 유형적으로 또는 위치적으로 구별하여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의 계통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아직도 우리말이 어떤 계통을 가졌으며 어떤 언어와 친족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분명히 말하기가 어렵다. 한때 한국어가 우랄-알타이 어족에 속함을 주장한 분들이 있었고 지금도 많은 분들이 우리말이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원래 알타이 어족으로 알려진 몽골 제어, 튀르크 제어, 퉁구스 제어와 한국어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어떤 학자들은 알타이 어족 자체의 존재에 대하여 회의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 한국어와 알타이어 사이에는 언어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인칭 대명사나 수사, 인체 부위 명칭 등에서 같은 계통의 언어로 보기 어려울 만큼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며 튀르크 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다른 알타이어를 말하는 사람들과 같은 계통임을 강력하게 부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국어의 유형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음운, 형태, 동사, 의미의 면에서 우리말이 다른 언약들과 구분되는 독특한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자주 거론되었다.
첫째는 음운에서 한국어는 모음 조화를 갖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 모음 조화는 인구어(印歐語: 인도와 구라파의 언어)를 제외한 다른 많은 언어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음운 동화 현상이며 더욱이 한국어의 모음 조화는 다른 알타이어의 그것과 비교하여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인다
교착적인 문법 구조로 인해 주어 잘 생략되고 경어의 문법 발달돼 오히려 음운에 있어서 한국어가 갖고 있는 특징은 자음에 있어서 평음(보통 소리), 격음(거센 소리), 경음(된소리)의 차이가 분명하다는 점이다. 평음, 격음, 경음의 세 가지 변별적 특징은 어말 위치에서는 의미를 분화시켜 주는 기능을 잃어버리고 중화되는데 이것 역시 한국어에만 보이는 중요한 음운 현상이다. 이것은 모든 발음이 하나의 의미 단위 내에서 완결되고 다른 의미 단위에는 음성적인 영향을 극소화시키려는 말화(末化) 심리가 크게 작용한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옷은 하나의 의미 단위에서는 옷이 [오시] 옷을[오슬]로 발음이 된다. 이런 현상은 하나의 의미 단위에서 다른 의미 단위로 자유롭게 연음(liaison)이 되는 프랑스어와는 극단적으로 대립을 이루는 언어 현상이라고 하겠다.
상술한 음운의 특징 이외에도 우리말이 갖고 있는 음운이나 의미상의 특징이 많이 있으나 지면의 제한으로 생략하고 다음은 문법적인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흔히 한국어는 교착적인 문법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한다. 그리하여 문법적인 변화는 굴절이나 어순에 의하지 않고 어간(stem)에 다른 요소들이 첨가되어 이루어진다. 즉 가-라는 동사 어간에 여러 문법 요소들이 첨가되어 "(내일 서울에) 가시겠습니까?"의 가+시 +겠 +습+니 +까와 같은 어절이 이루어진다
국어는 몽골어와 같이 주어+목적어+서술어형이다.
이런 교착적인 문법 구조는 알타이 제어에서는 물론이고 다른 많은 언어에서 발견된다. 다만 국어에서는 경어의 문법 요소가 특별히 발달되었다든지 교착적 문법 구조로 인하여 문장 구조에서 주어가 잘 생략된다는 등의 특수한 현상을 하나의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