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

 1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1
 2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2
 3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3
 4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4
 5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5
 6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6
 7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7
 8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8
 9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9
 10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10
 11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11
 12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12
 13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여음의 개념
2. 여음의 종류
(1) 위치별 분류
(2) 성분별 분류
3. 여음의 기능
(1) 시적 요소로서의 기능
(2)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
4. 여음의 특성
(1) 반복성
(2) 음악성
(3) 분절성
(4) 의미적 무관성
(5) 연속 강조성
(6) 민족성의 발로
Ⅲ. 결론
Ⅰ. 서 론
고려속요는 향가가 쇠퇴하고 그 명맥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크게 유행한 갈래로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우리말 노래다. 고려속요는 고려시대의 노래라고 해서고려가요라고 하기도 하고, 분연되어 그 형식이 길어지기도 하여장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려속요는 평민문학이며, 구비문학이다. 한글 창제이후 정착하여 그 특징은 민요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운율이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당시의 사회상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는 조선조 문헌에 기록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음사(淫詞), 사리부재(詞俚不載)라 하여 많은 작품들이 소멸되었다. 고려속요는 한글창제 이후 , , 등에 채록되어 전하게 되고, 이밖에는 가사는 전해지지 않으나 제목과 내용만 전하는 것이 에 30여 편이 소개되고 있다. 고려속요의 원작자는 대부분 미상이다. 그러나 궁중의 속악가사로 개편되면서 악곡에 조예가 깊고 시문에 밝은 신하나 군중에 등재된 관기, 여무, 악공 등이 작가 층으로 참여하였다. 그리하여 원래 민요로 민간에서 널리 불리던 고려속요가 궁중의 속악가사로 채용, 개편되면서 원래 있던 악곡의 형식에 맞추다 보니 여음을 첨가하게 되었는데, 이는 고려속요의 가장 큰 형식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속요의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아직도 의미를 알 수 없는 표현이나 어휘들이 많고, 특히 형식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되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려 속요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여음 연구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고려 속요의 특징적 형식의 한 부분으로서 여음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렇듯 고려속요의 중요한 형식상 특징인 여음의 개념과 종류, 기능 및 특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Ⅱ. 본 론
1. 여음의 개념
일반적으로 여음의 의미는 문학과 음악에서 각기 달리 쓰인다. 정경란, 고려속요의 여음, 한국학대학원논문집 11집, p.115
음악용어로는 성악곡에서는 노래는 쉬고 악기만 연주되는 부분을, 기악곡에서는 독주하는 악기는 쉬고 반주하는 다른 악기들만 연주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반면 문학에서 여음이란 구비문학, 특히 구창문학인 시가 등에서 련(聯) 단위에 본 가사의 앞뒤 가운데에 있어 뜻의 전달보다는 조흥과 조율 및 의미 확장을 기하는 소리(구음)로서 반복에 의해 한 형식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문학에서의 여음의 의미는 열자, 적벽부, 후한서, 어부사시사 후미 등의 옛 문헌에서 사용된 여음의 용례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열자 :「시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없어도 시상은 성립될 수 있는 것들을 여음이라 하고, 특히 행이나 연이 끝날 때마다 나타나는 여음을 후렴이라 한다.」 국어국문학사전,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편(1974. 3. 10) p.423.
적벽부 :「‘흥과 멋을 돋우거나, 음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내지 감탄적 사설이다’라고 할 수 있다.」 정동화, 前載論文, p.43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