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

 1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1
 2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2
 3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3
 4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4
 5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5
 6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6
 7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7
 8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8
 9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 교육] 효와 우애(의미, 개념, 교과서 활동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효와 우애
1. 효의 개념과 윤리적 의미
우리나라에서 효 사상은 유교 사상에 입각하여 모든 덕의 근원으로 여겨지며 중심적 삶의 원리로 작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역사의 흐름과 더불어 급변한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전통적 효의 개념은 그 의미와 적용 범위에 있어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다. 이에 현대적 의미의 효 개념 재정립이 필요성이 요구되며, 그러한 현대적 의미의 효의 개념을 정의하기에 앞서 전통적 개념의 효의 의미와 윤리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가. 전통적 효의 개념
효의 어원은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모습에서 유래한다. 효를 자원적으로 풀이해 보면 ‘효(孝)’는 늙을 로(老)와 아들 자(子)를 합하여 자식이 노친을 업어 모시는 것이고, 또 효(爻)와 자(子)의 합자로 보면 자식이 본받아야만 되는 효도를 의미한다. 또한 효도(孝道)는 ‘효(孝)’와 ‘도(道)’를 합한 의미이며, 효도란 부모를 잘 섬기는 인간만이 가지는 도리요, 자식이 부모에게 지성으로 받들어 모시는 효행의 도리라고 말할 수 있으며, 부자지간에 마땅히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행동이요,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동양윤리사상에서 효의 의미를 살펴보면 공자(孔子)는 부모를 공경하고, 부모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드리며, 예로써 제사를 받들 것을 하였고, 그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하여 이것을 확고히 정착시켰다. 이 사상은 맹자(孟子)에서 자식의 부모에 대한 의무가 더욱 강조되었고, 한대(漢代)에 이르러 《효경(孝經)》에서 도덕의 근원, 우주의 원리로서 형이상화(形而上化)되고 절대복종이 명문화되었다. 또한 천자(天子)가 되어야 비로소 지극한 효를 할 수 있고, 효를 실천함으로써 천하를 다스릴 수 있으므로 이런 자연의 이법(理法)에 따라야 한다는 전개로 국가가 효 윤리를 권장 ·강요하여 중국사회의 중요한 도덕규범으로 정착시켜간 것이다. 이러한 유교의 사상을 적극 받아들여 사회적 토대를 마련한 조선시대에 이르러 우리나라에서도 가부장적 혈연관계가 중시되며 효의 의미는 더욱 강화되었다.
나. 효의 윤리적 의미
효의 덕이 지니고 있는 첫 번째 윤리적 의미는, 효란 부모에 대한 공경이라는 것이다. 유교에서는 구체적으로 봉양의 효, 양지의 효, 부모 사후의 효를 말한다.
봉양의 효란 부모의 의식주 생활에 불편함이 없이 육체적 물질적으로 편한하게 해 드리는 것이며, 이와 구분되는 정신적 효인 양지의 효는, 부모를 공경하고 순종하는 효이다. 또한 부모 사후의 효는 인간의 죽음은 후손과의 완전한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으로 돌아가는 한편 후손에게 생명으로 이어진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부모의 사후에 장사와 제사의 예를 다하는 것이다.
자식이 이와 같은 부모에 대해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 것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첫째, 서양의 전통적 관점으로 부모와 자녀간은 상호 의존적 관계이며 부모가 할 의무를 다 했을 때 자녀들의 부모에 대한 효의 실천이 요구된다는 관점이다. 이는 부모가 양육 있어서 비의도적 혹은 의도적 부적합성을 보일 때 부모에 대한 효의 실천은 자녀의 자유의지에 맡기게 되며 이는 결코 도덕적 의무로 강요되는 것은 아니다.
둘째는, 유교의 생사관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부모에게 내 존재의 근원인 생명(성품과 육신)을 빚지고 있다는 의식이 뿌리깊이 박혀 효를 부모로부터 진 빚에 대한 자발적 보은으로 이해하는 동양의 전통적인 관점이다. 이때 효는 의무가 아닌 보은과 감사하는 덕의 차원에서 이해되며 행하지 않을 경우 비난을 받을 수는 있으나 강제성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선인들은 불효자를 배신자, 배은자라 하며 가장 용서받을 수 없는 사람으로 치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