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민요연구사정리

 1  민요연구사정리-1
 2  민요연구사정리-2
 3  민요연구사정리-3
 4  민요연구사정리-4
 5  민요연구사정리-5
 6  민요연구사정리-6
 7  민요연구사정리-7
 8  민요연구사정리-8
 9  민요연구사정리-9
 10  민요연구사정리-10
 11  민요연구사정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요연구사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민요 수집의 역사
3. 민요 연구의 역사
4. 민요 수집과 연구의 방법
5.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민요는 민족의 삶과 역사의 토대 위에서 형성된 문화유산이자 문학 유산이다. 나 는 이미 신석기 시대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보이며, 철기 시대에 들어서면서 가 출현하고, 통나무 배 대신 구조선이 등장하면서 가 등장하였을 것이다. 사람들의 생활환경이 달라지는 것에 따라서 민요도 함께 변화해온 것이다. 따라서 민요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일은 민족의 정체성을 밝히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초기의 민요 연구가 대부분 이러한 방향에서 이루어져왔다. 이는 정치적 의도성이 깔려있는 것이라 하겠다. 최근에는 여기서 더 나아가 민요의 현장성과 연행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사설에 근거한 문학적 성격과 가락에 근거한 음악적 성격, 기능에 근거한 민속적 성격이 복합된 연구들이 등장하여 민요 연구의 폭을 확장시키고 있다.
민요 연구사를 정리할 때는 우선 민요 수집의 역사와 연구의 역사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삼국, 고려, 조선의 민요 자료들은 민요 자체에 대한 관심으로 수집된 것이라기보다는 각 시대의 역사 정리 과정에서 학자의 관심사나, 시대상을 기술하는 측면에서 다루어진 것들이다. 본격적인 민요 수집이 이루어진 것은 일제 강점기에서부터이다. 초기에는 사설과 지역을 기록하는 데에서 그치던 것이 최근에는 점차 현장성을 중심에 놓고 진행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지는 민요 연구의 역사 강등학, 「민요의 연구사와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반교어문연구』 vol.10, 반교어문학회, 1999
는 각 시기의 연구물이 담고 있는 문제의식과 그 한계를 살펴보고, 앞으로 민요연구의 방향을 전망해 볼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1. 강등학, 「민요의 연구사와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반교어문연구』 vol.10, 반교어문학회, 1999
2. 박경수, 「민요연구의 성과와 과제」『한국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1998
3.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1949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동문선 문예신서 vol.71, 동문선, 1998
4. 조동일, 「민요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5. 최철 편, 「민요의 개념, 수집과 연구의 내력」『한국민요론』, 집문당, 1986
6. 김무헌,「한국민요는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가?」『한국민요문학론』, 집문당, 1987
8. 최철,『한국민요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9. 김영돈,「한국민요의 연구」『한국민속연구사』, 지식산업사, 1994
10. 강진옥,「구비문학연구 50년」『국문학 연구 50년』, 혜안,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