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

 1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1
 2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2
 3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3
 4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4
 5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5
 6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6
 7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7
 8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8
 9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9
 10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10
 11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의 변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BEFORE THE COLONIAL PERIOD(PRE-1910)
THE COLONIAL PERIOD(1910-1945)
PERIOD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1945-1948)
PERIOD OF SUBJECT-CENTERED CURRICULUM(1948-1962)
PERIOD OF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1962-1973)
PERIOD OF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1973-1981)
PERIOD OF HUMANISTIC CURRICULUM(1981-1995)
SUMMARY AND REVIEW
본문내용
BEFORE THE COLONIAL PERIOD(PRE-1910)

1910년에 일본이 한반도를 점령하기 전에, 한국은 거의 5000년 역사동안 자신의 교육 체계와 교과과정을 발전시켜 왔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인문학을 중시하고 기술 과목은 천한 것으로 여겼다. 귀족은 공자의 윤리학과 철학을 지역 초등 교육기관에서 배웠고, 실용적인 과목은 일반인을 위한 것이었다. 모든 초등 교육기관과 몇몇 중등 교육기관은 개인적으로 설립되어 운영되었고, 나머지 중등 교육기관은 중앙 및 지방 정부에 의해 운영되었다. 중앙 정부는 고등교육에 대한 책임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은 국가고시(과거시험)를 위한 것이었고, 그 시험은 관료가 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었다.
한국은 봉건 왕조가 19세기 중엽에 외국과의 교류를 개방하기로 결정할 때 까지 서방 국가에 “고요한 아침의 나라”(Gregor, 1990) 혹은 “은자(隱者)의 나라”(Griffis, 1905)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서방의 천주교, 장로교, 감리교 선교사들이 차례로 이 조용한 나라에 상육하기 시작했고, 신에 대한 신념 뿐 아니라 자신들의 문화의 우월성에 대한 신념까지 가지고 들어왔다. 그들은 선교 활동의 일부분으로써 작은 어린이 집단으로 현대 서양식(초등) 학교를 열었고 거기서 산수, 국어 읽기 쓰기, 기초 영어 등을 가르쳤다. 조선 왕조 역시 새로운 교육 기관에 큰 관심을 보였고, 미국으로부터 몇몇 교사(H. V. Allen, H. B. Gilmore, B. A. Bunker)들을 초대하여 몇 개의 서양식 학교를 세웠다. 1886년에 그들은 외국어와 의학 같은 실용 기술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러한 학교들은 한국 최초의 현대 학교로 기록되었다.
정부는 전체 사회 개혁을 위한 다른 정치적 사안과 함께 새로운 교육을 위한 법령을 포고하였고, 지역 교육자들은 지역 어린이들을 위한 새로운 사설 학교를 세우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설 학교에서 자신들의 나라가 처한 위험을 인지한 교사들은 국가의식을 학생들에게 심으려고 노력했고 특히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화 하려는 음모를 알도록 하게 하였다.
하지만 지정학적인 특성 때문에 한국은 강대국의 경쟁 지역이 되었고 미국, 일본, 러시아 그리고 중국 같은 강대국은 한국 스스로 현대화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았다. 일본은 러-일 전쟁을 이긴 후에 1905년에 강제로 을사보호조약(통감정치)을 체결하였고 그것을 이용하여 일본은 한국의 거의 모든 정치를 간섭하였다. 일본 감독관은 한국에 일본 교육 시스템과 교과과정을 도입하였고 국가주의 사설 학교를 특히 탄압했다.
강점기 이전에 조차도 중앙 교육부 관료의 거의 반수가 일본인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초등학교, 증등 학교의 모든 교과과정을 조정하였다. 일본인 교사가 들어와서 국립 공공학교에 배치되었다. 일본어 교육을 위한 시간이 한국어를 위한 시간과 거의 같거나 오히려 더 많았다(Ham, 1976). 만일 사설학교가 교과과정에 따라 교육하지 않는다면, 그 학교는 정규 학교로 인정받지 못했다.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