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

 1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1
 2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2
 3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3
 4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4
 5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5
 6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6
 7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7
 8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8
 9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9
 10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10
 11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11
 12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12
 13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13
 14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14
 15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학] 빈곤문제와 교육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가설
■ 들어가기
■ 문제제기
■ 원인 분석
▲ 좋은 대학 입학 시 임금, 소득면에서 유리한 점
▲ 실업계 교육에의 진로결정과 문제
■ 해결방안-1
■ 해결방안-2
본문내용
■ 가설

"빈곤의 대물림은 잘못된 교육제도에 기인한다.“

■ 들어가기
빈곤의 개념은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상태"이다.
사회주의체제에서 자본주의 사회로 탈바꿈하면서 경제적 자유, 이윤획득의 목적으로 급속한 경제발전과 사회발전을 이룩하였으나 빈부의 격차라는 사회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빈곤문제는 더욱더 가속화되고 있다.
옛날 빈곤문제는 개인의 게으름이나 무능력 탓으로 여기며 좁은 문제로 인식해 등안시 해왔으나 현대 자본주의 체제로 돌입되면서 많은 의식 변화와 경제적 모순과 결함을 인식한 후에는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는 이번 발표로 빈곤의 원인, 빈곤의 실태와 해결 대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문제제기
지난 한 해 동안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교통사고 사망률보다 높았다는 보도가 얼마 전 있었다. 또한 올해 들어 유난히 가족동반 자살 사건이 자주 매스컴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자신뿐만 아니라 배우자, 자녀들과 함께 세상을 등지는 가장들의 한결같은 외침은 ‘우리 자식에겐 이 지긋지긋한 가난을 물려주고 싶지 않다’이다.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구두닦이, 서울대 진학’, ‘청소부 아들, 고시합격’ 등의 보도를 자주 접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주위를 둘러보아도 이런 절대빈곤층에서 명문대로 진학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왜 그럴까’하는 의문에서부터 우리의 문제제기는 시작됐다.
지난 반세기동안 우리 사회는 국가주도의 경제성장 정책 하에 온 국민이 매진한 결과 지금은 농업부터 최첨단 산업까지 종합적인 산업화를 최단기간에 이룬 세계에서 유일한 나라가 되었다. 정부주도의 성장정책은 단순한 산업구조를 가지고 극도의 효율성을 끌어내는데 집중했다. 한국 전쟁 이후, 연평균 10%이상의 초고속 성장 덕분에 대다수 국민이 굶주림을 면하고 삶의 질을 논하게 되는 시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IMF 이후 몰아닥친 경제위기는 많은 중산층을 절대빈곤층으로 내몰았고 언제 길거리로 나 앉을지 모르는 차상위 빈곤층의 급증을 가져왔다. 또한 이들에게 미래가 없다는 건 일련의 가족 동반 자살 사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산업구조는 다변화되고 전문기술을 가진 일꾼을 원하는 새로운 경제상황에서 이들이 쉽게 가난의 대물림을 끊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빈곤의 대물림이 일반화되었을까? 우리는 그 답을 국가주도의 교육체계에서 찾으려 한다.
정부가 경제를 이끌고 그 방향을 제시하던 시대는 갔다. 하지만 국가주도의 산업발전을 위해 교육까지 국가가 통제하던 시대는 지금에도 이어지고 있다. 전반적인 국가주도의 사회는 교육분야를 철저히 국가화하였고, 이에 따라 국가주의-민족주의-반공-시장경제라는 매우 협소한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사회전체적으로 만연하게 되고 교육내용의 획일화가 이뤄지게 되었다. 국민교육헌장으로 대표되는 국가주의 교육 및 국가가 관리하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커리큘럼 및 입시제도는 교육내용 전반을 극단적으로 표준화함으로써 주입식 교육과 암기 위주의 학습을 강화할 뿐이었다. 결국 국가가 주도한 획일적인 교육내용과 입시제도는 교육부가 그토록 강조하는 공교육의 정상화는 고사하고 사교육의 엄청난 증가만을 불러왔다. 전반적인 국민의 경제여건이 나아지면서 너도나도 사교육에 돈을 쏟아 부으며 자녀들의 좋은 대학 진학만을 목적으로 한다. 수능을 위한 교육만이 존재하는 사회다. 그람시에 따르면 교육기관도 넓은 의미에서 국가기구의 일부이고 따라서 헤게모니적 지배의 수단이지만 우리처럼 변모하는 사회를 선도하거나 따라가지도 못하는 교육제도는 그 어디에도 없다. 이런 모순된 교육제도에서 사교육의 급증은 결국 경제적 약자들의 교육기회마저도 박탈하고 있다.
우리는 이번 발표에서 빈곤의 대물림이 그릇된 교육제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