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

 1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
 2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2
 3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3
 4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4
 5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5
 6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6
 7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7
 8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8
 9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9
 10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0
 11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1
 12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2
 13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3
 14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4
 15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5
 16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6
 17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7
 18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 직업교육의 실태 및 대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직업교육의 정의

Ⅱ. 직업교육의 실태

[첨부자료-1] 일반계고교 대비 전문계고교 현황 변화추이

[첨부자료-2] 일반계고교 대비 전문계고교 현황비교

Ⅲ. 직업교육에 취해지고 있는 정책
Ⅲ-ⅰ) 실업계고의 예산 급감
Ⅲ-ⅱ) 공고 2․1체제


Ⅳ. 직업교육의 문제점
Ⅳ-ⅰ) 단선형학제 (6-3-3-4제)

Ⅳ-ⅱ) 기타 문제점
1) 교과목 담당교사의 측면

2) 학생 측면

3) 취업 측면

4) 정책적 측면

5) 사회적 측면


Ⅴ. 외국사례비교 (프랑스)
Ⅴ-ⅰ) 프랑스의 직업교육 현황

Ⅴ-ⅱ) 프랑스의 중등 직업교육의 개편 동향

Ⅵ. 향후 직업교육의 방향
1) 사회적 환경적 활성화 방안

2) 고교단계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의 마련

3) 진로정보체제의 구축

4) 마이스터 고등학교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Ⅶ.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Ⅳ-ⅱ) 기타 문제점
1) 교과목 담당교사의 측면
전공 교과목이 적용되는 산업체에서의 현장 경험을 하지 못한 채, 대학 졸업 후 곧 바로 직업교육의 현장에 투입된 교사들의 경우,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의 상황을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직업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예를 들어, 교사들이 실습 시간에 실기 시범을 잘 보여주지 못하는 실정인데, 이런 현상의 근본 원인은 교사들이 산업체 현장에서의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2) 학생 측면
직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기초 학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많은 것도 장애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교사들은 학생들을 교육 목표에 가까이 접근해 갈 수 있도록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학습할 수 있다는 교사 자신의 교수-학습 능력에 대한 믿음(교사 효능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우 직업교육을 받기 위해 교육훈련기관에 등록하는 학습자들은 원하는 대학 진학에 실패하여 그 차선책으로 선택한 사례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가정환경과 인성교육의 실패로 학생들의 생활지도가 불가능하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3) 취업 측면
실업계 고등학교가 사회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으려면 졸업생의 취업 진로가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또한 현재의 실업계고 학생들 중 많은 수가 지속적인 교육을 희망하여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4) 정책적 측면
직업교육에 관한 국가적인 일관성 있는 실업교육 정책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최근 직업 교육 개혁정책들에서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미흡했다. 따라서 학생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실업교육을 연계해야 하지만 이와 같은 것들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지 않다. 우선 실업계의 단위를 적정규모로 줄여서 제대로 된 기술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며, 교육과정과 교육의 질에 대해 단위학교에서 관심을 갖도록 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와 시도교육청 등의 지역 실업교육에 대한 재정지원이 감축된 것이 그 문제점이라 말 할 수 있겠다.

5) 사회적 측면

참고문헌
- 유은재 / 「전문계고등학교 진학 기피현상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마이스터고를 통한 개선방안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박창남 / 「한국 청소년의 구직행위와 노동시장 진입에 관한 연구」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1999)
- e-나라지표/ //www.index.go.kr (통계자료·표 참조)
- 구신화 외 / 직업기술 교육구조 개편방안 / 기술계 학원을 중심으로 / 교육부. (1996)
- 권철한 외 /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자격기본법 제정 및 직업능력개발원의 설립에 관한 연구/ 교육부. (1996)
- 김상호 / 직업교육의 산학협동 개혁 방향 / 직업교육연구. (1995)
- 정철민 / 직업교육훈련 학습 환경 변화에 따른 모듈식 교재체제 개발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