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

 1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1
 2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2
 3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3
 4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4
 5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5
 6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6
 7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7
 8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8
 9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9
 10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10
 11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11
 12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12
 13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30년대 후반-1945년 소설, 희곡, 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1930년대 후반~45년 소설
1. 제한된 현실에서의 비판적 리얼리즘의 실현
2. 괴로운 현실에서의 도피․ 외면
3. 역량 있는 신인들의 등장과 그들의 그 후
4. 그 밖의 작가와 작품
Ⅲ. 1930년대 후반~45년 희곡
1.희곡 문학의 토착기
2.신파극과 리얼리즘극
3.국민연극
Ⅳ. 1930년대 후반~45년 비평
1. 시대적 상황
2. ‘물논쟁’ 그리고 일원론과 이원론
3.모색 비평
4. 세대 논의
5. 신체제론
Ⅴ. 결론
본문내용
Ⅱ. 1930년대 후반 ~ 45년 소설

1. 제한된 현실에서의 비판적 리얼리즘의 실현
이 시기의 작가들은 조선총독부의 강한 검열, 그로 인한 삭제․ 게재금지에 시달렸다. 그러나 그러한 극한적인 문단 상황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허용된 여건 아래에서 현실 참여적인 작품을 발표한 작가들이 있었다.

1) 이태준(李泰俊, 1904~?) : 고통스런 삶의 미적 승화
9인회(九人會) 1933년 순수문학을 표방하고 계급주의 및 공리주의 문학을 배격하는 목적으로 문단의 중견급 작가 9명에 의하여 결성된 문학동인회이다. 김기림(金起林)·이효석(李孝石)·이종명(李鍾鳴)·김유영(金幽影)·유치진(柳致眞)·조용만(趙容萬)·이태준(李泰俊)·정지용(鄭芝溶)·이무영(李無影) 등 9명이 결성하였다. 얼마 후 이종명·김유영·이효석이 탈퇴하고, 박태원(朴泰遠)·이상(李箱)·박팔양(朴八陽)이 가입하였으며, 다시 유치진·조용만 대신에 김유정(金裕貞)·김환태(金換泰)로 교체되어, 항상 9명의 회원을 유지하였다. 1930년대 경향문학이 쇠퇴하고 문단의 주류가 된 이들은 계급주의 및 공리주의 문학을 배격하고 순수문학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하여 당시 순수문학의 가장 유력한 단체로 활동하였으나 3~4년 뒤에 해체하였다.

의 회원으로 KAPF로 대표되는 비문학적 정치주의에 반대, 예술성을 중시하여 순수문학의 기수가 되었다. 그러면서도 현실도피하지 않고 일제치하 한국인의 고통스러운 삶을 작품화 하였다. 아름다운 문장, 치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구성에 의해 미적 승화를 이룩하고 있기 때문에 항일적인 발언을 하고 있으면서도 경직성을 띄거나 단선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 주요작품
- 근대화의 과정에서 소외되어 삶의 의미와 그 지표를 잃어버린 인간상을 그림 : 「달밤」(1933), 「복덕방」(1937), 「영월영감」(1939), 「밤길」(1940)
- 작가의 신변적 체험을 통해 일상의 의미를 부각시키면서 자아의 내면성에 대한 성찰 강조 :「장마」(1936), 「패강랭」(1938), 「토끼이야기」(1941), 「사냥」(1942)
- 일제 치하 한국인의 고통스런 삶을 그림 : 「失樂園(실락원)이야기」(1932),「꽃나무는 심어 놓고」(1933),「촌띄기」(1939),「밤길」(1940)

2) 채만식(蔡萬植, 1902~1950) : 식민지 현실에의 우회공격
1930년대 초기에는 동반자자적 성향의 작품을 발표하면서 문단적 지위를 확보했다. 30년대 중반부터는 역사의식을 가지고 식민지 현실과 그 현실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인간들을 풍자적인 작품을 통해 우회공격하고 있다. 그가 보여주는 풍자의 수법은 전통적인 판소리의 어조를 현대적으로 재현한 문체에 의해 더욱 빛을 발한다. 한민족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자각하고 민족정기를 지키려한 민족주의 문학가이다.
․ 주요작품 -「레디메이드 人生」(1934),「明日」,「濁流」(1937),「痴叔」(1938),「天下太平春」(후에「太平天下」로 개제)(1938)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윤식․김우종 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8.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2.
김명환, 김영경, 신승희 외,『한국대표단편소설7』, 도서출판 빛샘, 2003.
유성재, 이만기, 허창현 외, 『한국대표단편소설2』, 도서출판 빛샘, 1997.
김혜니, 『비평문학의 이해』, 푸른사상, 2003.
김선학, 『한국현대문학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金敎植, 「이상문학 연구:작품기법과 작가의식을 중심으로」, 西原大 敎育大學院, 1998.
이대범, 『한국근대희곡론』, 북스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