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한국사] 임나일본부설

 1  [한국사] 임나일본부설-1
 2  [한국사] 임나일본부설-2
 3  [한국사] 임나일본부설-3
 4  [한국사] 임나일본부설-4
 5  [한국사] 임나일본부설-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임나일본부에 대하여
1. 임나일본부의 어의(語義)
2. 임나일본부설 이란?
3. 임나일본부설이 문제가 되는 이유와 사료해석의 유의점

Ⅱ. 본론 - 임나일본부에 대한 주장
1.일본측 학설
- 출선기관설(出先機關說)
- 가야의 왜인설(加耶의 倭人說)
- 외교사절설(外交使節說)
2.북한측 학설
3.한국측 학설
- 백제군사령부설(百濟軍司令部說)
4.사료적근거로 보는 임나일본부설의 설과 그 반박
- 송 서
- 일본서기
- 목라근자
- 목라근자와 목만치
- 일본부 일본현읍
- 신찬성씨록

Ⅲ. 금후의 과제 및 연구방향

본문내용
Ⅰ.임나일본부에 대하여

1. 임나일본부 어의(語義)
"임나일본부"란 임나(任那) + 일본(日本) + 부(府)의 합성어.
임나(任那) : "일본서기" 이외에도 "광개토왕릉비"삼국사기 강수전, 진경대사탑비, 한원, 통전(通典) 등 한국과 중국의 문헌에서도 확인되며, 가야의 이칭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임나’란 가야지역을 가리키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일본(日本) : 국호는 7세기 이후에나 확인되는 것으로 ‘임나일본부’의 문제가 거론되는 6세기 중엽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일본서기& 편찬 시에 왜(倭)를 일본(日本)으로 고쳐 쓴 것에 불과하다. ‘일본부’의 관련사실을 전하는 "일본서기" 흠명기(欽明紀)조차 ‘일본’과 ‘왜’가 혼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부(府)’: 중국의 한대(漢代)에서 비롯되어 장군(列將-雜號將軍 이상)이 천자로 부터 위임받은 군사권과 행정권을 행사하기 위해 일정한 지역에 설치하였던 막부(幕府)를 의미하며, 기관이나 관청의 용례로 쓰이는 것이 보통이었다.

2.임나일본부설 이란?
일본이 4세기 중엽부터 6세기 중엽까지 가야지역을 정벌하여 한국 남부를 경영하겠다는 학설. 이는 일본이 날조한 대표적인 식민사관(植民史觀)의 하나이다. 일본에서는 에도시대(江戶時代,1603~1867)부터 등의 일본 고전을 연구하는 국학자들이 있었으며, 태고 때부터의 일본의 조선 지배를 주장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한일합방을 앞두고 그 역사적 근거로서 이들을 통하여 그들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설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였다.

3.임나일본부설이 문제가 되는 이유와 사료해석의 유의점
임나일본부설의 주근거사료인 《일본서기》는 8세기 초에 일본왕가를 미화하기 위해 편찬된 책으로, 원사료 편찬 과정에서 상당한 조작이 가해진 것으로 보이며, 5세기 이전의 기록에 대해서는 신빙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Ⅱ. 임나일본부에 대한 주장

1.일본측 학설
①출선기관설(出先機關說)
‘출선기관’이란 일본어적 표현으로 ‘출장소(出張所)’ 또는 ‘출장기관(出張機關)’과 같은 뜻이다. 일본학계의 통설을 대변하는 용어로 그 연구경향을 특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고대의 일본이 4 ~ 6 세기의 이백년간에 걸쳐 한반도의 남부를 근대의 식민지와 같이 경영하였는데, 그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편찬부./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임나문제와 한일관계/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편./서울: 景仁文化社, 2005.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 1/ 김현구...[등저]./서울: 일지사, 2002.
강좌 한국고대사 제4권/한국고대사회연구소/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란 무엇인가,『시민을 위한 가야사』 집문당, 1996.5 이 영식 李 永植(인제대 사학과 교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