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근대사, 근대건축, 건축] 서울의 역사와 건축물

 1  [근대사, 근대건축, 건축] 서울의 역사와 건축물-1
 2  [근대사, 근대건축, 건축] 서울의 역사와 건축물-2
 3  [근대사, 근대건축, 건축] 서울의 역사와 건축물-3
 4  [근대사, 근대건축, 건축] 서울의 역사와 건축물-4
 5  [근대사, 근대건축, 건축] 서울의 역사와 건축물-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기타
  • 2007.09.27
  • 5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대사, 근대건축, 건축] 서울의 역사와 건축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성부(漢城府)시대 : 1392-1910
1-1. 1392년-1591년 - 조선전기(朝鮮前期) 수도(首都)건설
1-2. 1592년-1863년 -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묘(丁卯)/병자호란(丙子胡亂) 시대의 서울
1-3. 1864년-1910년 - 개화기(開化期) 한성부(漢城府) 시대의 서울
2. 일제 강점기의 서울 : 1910년-1945년
2-1. 근대화 과정 및 변화
- 일제침략(日帝侵略)과 독립운동(獨立運動) 시기의 서울
3. 서울특별시(特別市) 시대 : 1945년 이후
- 1945년-1961년 - 광복이후의 대한민국(大韓民國)과 서울
[참조] 근대 건축의 문화유산
1. 국보
2. 보물
3. 사적
4. 서울특별시 지정유형문화재
문화재 지정권자별 근대문화유산 현황 (2004년 12월 31일)
근대문화유산의 지역별 분포 현황 (2004년 12월 31일)
근대문화유산의 용도별 현황 (2004년 12월 31일)
본문내용
고려왕조를 부정하고 조선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는 새 왕조의 면모를 새롭게 하기 위하여 즉위 후인 1392년 8월 13일에 도평의사사에 한양으로 천도할 것을 명하였으며, 일시 중지되었던 천도계획은 태조 2년 권중화가 왕실의 태실지를 살피고 돌아와 계룡산 도읍도를 헌상함으로써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풍수지리의 권위자였던 하륜이 계룡산 도읍지가 불가하다 말하며 신도 후보지로 안산(무악) 남쪽 일대를 지목하였으나, 태조는 이를 따르지 않고 북악산 남쪽 고려시대 남경 궁궐터를 다시 살피고 여러 중신들의 의견을 모아 한양을 신도의 후보지로 정하고, 개경으로 돌아가 한양천도를 결정하게 된다. 즉 태조는 1392년 8월 정승들의 주청을 받아들여 한양을 새 도읍지로 정식 결정하였으며 9월 초에는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이라는 임시기구를 설치하고 건설공사를 급속히 추진하게 되었지만 천도는 한양의 모든 건설 사업이 완료되기 전에 미리 실현되었다. 이후 10월 25일 개경을 출발, 한양으로 천도를 단행하였고 10월 28일 한양에 도착하여 옛 한양부 객사를 임시 왕궁으로 삼아 거처하다가 1395년 9월 종묘와 경복궁이 완공되어 12월에 왕이 신궁에 입어하게 되었다. 15세기 초 한성부 인구는 약 10만 명 선이었으며, 대부분 귀족관료와 그 가족들, 군역에 종사하는 군인, 각종 관청에서 사역되는 관노비와 가내 사노비들로 구성되었고 관할구역은 도성 안과 성 밖 10리(성저10리) 지역이었으며, 대체로 동쪽은 우이천과 중랑천까지 남쪽은 한강변과 용산에 이르렀으며, 서쪽은 양화진과 망원정을 지나 덕수원까지, 북쪽은 북한산으로 하였다. 그러다 2세기 후 임진왜란, 병자호란과 이괄의 난 등의 재난이 있었으며 인구 또한 3만 9천명 선까지 줄기도 하였는데, 이후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한성은 이미 주요 궁궐과 사직대묘의 위치를 결정하고 주요 계층별 거주지 입지를 계획하였기 때문에 도시 내의 토지 이용은 개화기를 거치는 동안에도 크게 변모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즉, 주요 상류계층은 궁궐과 그 주위에 집중하고, 그 주변에 하급관리계층이 모여 사는 구조를 이루었는데, 특히 한성의 경우 청계천을 중심으로 북쪽은 상류층, 종로 주변을 따라 상인과 공인이, 그리고 청계천의 남쪽은 전통적으로 하류계층이 거주하였다. 이러한 한성부의 도시적 성격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일제와 서구열강의 침탈로 인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상황을 맞이하였으며, 19세기 중엽 한성부의 인구는 20여만 명으로 이들 중 상공업 종사자의 인구 증가가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 1864년 고종의 즉위와 함께 대우군 이하응에 의해 경복궁이 중건되면서 왕실의 관위를 회복하고 외척 세도정치를 배체하면서 대외 강경정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1875년 강화도조약, 1882년 임오군란, 1884년 갑신정변 등 급변하는 정국에 이어 1894년 청일전쟁, 동학농민전쟁, 갑오개혁 등을 겪으면서, 한성부에는 새로운 근대적 시설인 철도, 전차, 전신전화 등이 설치되고 서양식 학교, 병원, 상수도 등이 운용되어 외형적으로는 근대화의 모습을 나타냈다.